본문 바로가기

Movie/Review

[리뷰] 킹콩을 들다 (2009)

킹콩을 들다
지난해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이 흥행에 성공하면서(개인적으로는 그 영화는 전혀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만) 스포츠를 소재로 한 영화는 필패한다는 징크스가 깨졌습니다. 해볼만한다고 생각되니 이러한 스포츠(중에서도 비주류스포츠)를 소재로 한 영화들이 우후죽순 처럼 기획된 것으로 보입니다. 역도를 소재로 한 "킹콩을 들다", 스키점프를 소재로 한 "국가대표", 컬링을 소재로 한 "돌 플레이어" 등이 그것입니다.

그 중에서 가장 먼저 개봉을 앞두고 있는 "킹콩을 들다"는 결과적으로 "우.생.순"의 성공을 목도하고 그를 이어보고자 벤치마킹만 시도하는(아니 시도하고픈) 영화입니다.

영화는 일반적인 스포츠 소재 영화의 전형적 도식을 그대로 따릅니다. 실패한 왕년의 운동선수가 하나 있습니다. 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안타까운 부상으로 동메달에 그치고 그 부상으로 인해 은퇴한 이지봉(이범수 분)은 역도계를 떠나있다 국가대표 시절 감독의 부탁으로 한 시골 중학교의 역도부 담당 선생님이 됩니다. 하지만 역도의 위험과 고통을 너무도 잘 아는 지봉은 이런저런 사정으로 역도부에 들어온 학생들에게 역도에 대해서는 제대로 가르쳐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열정 앞에서 그는 아이들에게 역도의 기본부터 알려주기 시작합니다.

이런 류 영화에서 운동을 하는 이들에게는 하나같이 유/무형의 상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 또 하나의 공식입니다. 이지봉은 자신의 꿈을 꺾은 몸의 상처와 그로 인해 얻은 마음의 상처가 있으며, 역도부 아이들에게는 왕따나 편모가정의 아픔, 가난 등의 상처가 있습니다. 그러한 평범한 공식을 그대로 따르는 이 영화에서 크게 느껴지는 것은 임춘애의 그늘입니다. 역도부 아이들 중에서도 주인공 격인 박영자(조안 분)은 사격부에서 총을 사지 못해 탈퇴를 하고 역도부에 듭니다. 같이 살던 할머니를 여의고 영자의 집은 친척들에 의해 처분됩니다. 결국 영자는 이지봉의 도움으로 얻게된 합숙소에서 생활을 하게 됩니다. 가난한 자신의 처지에서 진학을 위해 그녀는 운동을 합니다. 아픈 허리를 부여잡고 역도를 듭니다. "넘버3"에서 조필이 그렇게도 강조했던 '헝그리 정신'이 또 등장합니다. 운동 = '헝그리 정신'이라는 그 낡은 공식은 이제 지겹습니다.

코메디적 분위기와 진중한 분위기를 위태롭게, 그리고 일관성 없게 오고가던 영화는 후반부로 치달으면서는 어떻게든 울음을 자아내려고 노력합니다. 운동 중 얻게된 심근경색으로 괴로워하며 가슴을 치는 지봉을 멀리서 지켜보던 아이들은 그것도 모르고 웃어대지만, 그 웃음은 결국 의도된 눈물샘 자극을 위한 얕은 수입니다. 거기에 더해진 것이 아이들에게 가해지는 학원스포츠의 폭력입니다. 영화는 훈련과정에서 가혹하도록 맞는 아이들을의 모습을 지속적으로 잡으며 그 아이들을 불쌍해 보이도록 하기 위해 애를 씁니다. 보다보다 짜증이 날 정도로.

그리고 후반부에 터뜨립니다. 이 불쌍한 아이들이 이렇게 우니 당신들도 우시오. 스포츠를 통한 역경/고난의 극복과 그로 인한 인간 승리의 드라마라는 이런 류 영화의 기본도 "킹콩을 들다"에는 없습니다. '금메달을 딴 사람의 인생만이 금메달은 아니다.' 등의 교훈적 이야기를 그저 주구장창 나레이션으로 읊을 뿐입니다. 스포츠의 감동은 오간데 없고 자극적인 싸구려 신파만 가득합니다.

실화, 여성, 비주류스포츠 등 <우.생.순>의 성공요인을 분석해보고 그것을 벤치마킹해보고자 한 기획에 대해서는 별 할 말이 없습니다. 상업영화에서 그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결과물을 내놓은 이상 안일한 판단과 기획이라는 덤터기를 뒤집어 쓸 수 밖에 없습니다.

P.S 시사회를 통해 미리 접한 영화로 올해 7월 2일 개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