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찌마와 리 -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
지난 2000년 홀연히 온라인에 등장해 100만건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폭발적 반응을 일으켰던 류승완 감독의 중편, "다찌마와 리". 2008년 여름 다찌마와 리가 '대형 스크린을 압도박하는 박력과 흥분'을 머금고 극장판으로 돌아왔습니다. "다찌마와 리 -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가 그것입니다.

지난 중편을 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다찌마와 리"는 의도된 어색함과 6,70년대 한국영화에나 나옴직한 억양과 대사들로 큰 폭소를 자아냈던 작품입니다. 이러한 작품의 특성은 극장판에도 이어집니다. '그녀는 내 마음의 마지막 세입자.' 라던가, '더러운 죄악에 종지부를 찍을 내 주먹을 사라', '내 인생에 삼각은 오로지 삼각김밥뿐이오.' 등 듣는 것만으로도 폭소를 자아낼 주옥과 같은 대사들이 영화내내 넘쳐납니다. 이런 대사를 비롯한 이 영화 웃음의 핵심 코드는 철저한 뻔뻔함입니다. 이 영화가 첩보코메디라고 했을 때 떠오르는 영화는 최근작으로는 "겟 스마트" 그리고 조금 더 뒤로가면 "오스틴 파워"가 있습니다. "겟 스마트"가 어쩌면 스티브 카렐의 처량하리 마치의 순진함이 뻔뻔함으로 승화된 경우라고 봤을 때, 이 영화는 "오스틴 파워" 쪽에 좀 더 가깝다고 할 수 있겠으나 등장하는 모든 인물이 단 한명도 빼지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앞뒤 안 가리는 뻔뻔함으로 무장하고 있는 이 영화는 진정한 뻔뻔(FunFun?!) 무비입니다.

멋드러지게 등장하는 다찌마와 리(임원희 분)에게 전작의 화녀와 충녀처럼 많은 이들이 환호하며, 연방 잘 생겼다는 말을 하는 이 뻔뻔함(임원희 씨께 사죄의 말씀을..쿨럭..)의 그 기반에는 이 영화의 (다른 말로는 느낌이 안 살아서 부득이하게) 쌈마이 정신이 있습니다. 저렴한 제작비 내에서의 최대한 효과를 이루어내려던 B급의 쌈마이 정신이 이 영화에 살아 있습니다. 이러한 의도적인 쌈마이는 영화 곳곳에서 볼 수 있는데, 도도히 흐르는 한강과 성수대교, 그리고 뒤쪽에 지나다니는 냉동탑차를 두고서도 이곳은 두만강이라고 생색을 내지를 않나, 전혀 안 프린스턴 대학스러운 장소를 한치의 망설임도 없이 프린스턴 대학이라고 우기는 그 불굴의 정신이란... 이 외에도 영화는 자체발광 쌈마이로 보는 이들로 하여금, (인터넷 중편을 보지 않았더라도) '아, 이 영화 원래 이런 영화구나'라고 절로 받아들이게 합니다.

포복절도하게 만드는 이 영화에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이 영화의 웃음은 위에서도 언급한 쌈마이 정신에 기초한 웃음인데, 절정으로 치닫기 전의 한 액션신에서는 그런 웃음기가 싸악 가실정도의 뭔가 갖춰진, 그간의 영화흐름과는 이질적인 모습이 보입니다. 이는 '액션 키드'라고 불리우는 류승완 감독이 자신의 욕망을 주체못한 결과가 아닐까 생각하는데, 하나의 액션 시퀀스로는 만족스러운 부분이나 영화 전체로 봤을 때는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 아닐 수 없습니다. 또한, 일백프로 후시녹음인데도 불구하고 몇몇대사가 제대로 전달이 안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약간의 아쉬움은 존재하는 영화지만, 나름 기대했던 작품으로서 극장판 "다찌마와 리"는 올여름 한국영화중 가장 만족스러운 작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영화 내내 사람의 웃음을 자아내는데에 대한 만족감에 더해 이런류의 영화가 주류상업영화로 제작되어 한국극장가에 걸릴 수 있다는 즐거움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영화 정말 호방합니다.

P.S 200억들여서 해외로케이션 한 영화보다 28억 들여서 영종도에서 만주인척 찍은 영화가 더 만족스럽다니... 뭔가 불공평한데요.


류승완 감독의 신작 "다찌마와 리 -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의 정식예고편이 공개되었습니다.

'최정예 비밀요원 다찌마와 리가 사라진 일급 기밀 문서를 찾기 위해 세계 전역을 넘나들며 펼치는 전격 첩보전!' 이라고 하는데, 배경은 일제시대로 보입니다.


전작인 단편 "다찌마와 리"에서 주연을 맡았던 임원희가 다시 한번 다찌마와 리로 등장, 또한 전작에서 '와싱톤' 역을 맡았던 류승범이 이번에는 국경살쾡이 역으로 등장하며, 공효진, 박시연 등이 출연합니다.

개인적인 2008년 여름 한국영화최고기대작인 "다찌마와 리 -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는 오는 8월 14일 개봉합니다.

P.S ...76년작 "악인이여 지옥행 열차를 타라"가 부천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는데, 볼까 고민 중입니다.

지난 2000년, 홀연히 등장해 온라인을 들썩이게 했던 35분간의 단편, "다찌마와 리"가 장편으로 돌아옵니다. 오는 8월 개봉 예정인 류승완 감독의 "다찌마와 리 -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이하 다찌마와 리)의 첫 티저 예고편이 공개되었습니다.

01




포털에 소개된 줄거리는 '최정예 비밀요원 다찌마와 리가 사라진 일급 기밀 문서를 찾기 위해 세계 전역을 넘나들며 펼치는 전격 첩보전! ' 이라는 군요. 예고편에서도 007를 패러디한 딱 그 느낌이지요. 아래의 이미지는 지난 칸영화제 때 홍보용으로 공개된 것입니다. 아래 사진을 통해 보면, 티저는 말 그대로 티저일 것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겠네요.

다찌마와 리 -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
다찌마와 리 -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
다찌마와 리 -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

배경과 이야기는 변했지만, 다시 한번 '오늘 네 놈에게 오동나무 코트를 입혀주마!'를 들을 수 있을까요? 왠지 모르게 개인적으로 전 "놈놈놈" 보다 이 영화가 더 기대됩니다.

f라듸오 데이즈
영화 “라듸오 데이즈”는 1930년대 경성,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을 배경으로 한 영화입니다. 7명의 인물들이 조선 최초의 라디오 날방송 라디오 드라마 ‘사랑의 불꽃’을 만들면서 벌어지는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라디오 드라마는 소설가 장훈과 신여성 애리수, 구여성 영신과의 사랑을 다룬 일종의 통속극입니다. 로미오 줄리엣 마냥 장훈과 애리수가 이별을 하고, 폐병에 거린 장훈은 그를 돌보는 영신과 사랑에 빠지고... 처음에는 인기가 없던 이 드라마는 독립운동을 위해 자신을 위장하고 잠입한 소리담당 K의 등장과 예기치 못한 각종 상황들의 해결 과정에서 오히려 더 큰 인기를 모으게 됩니다.

이처럼 영화는 7명의 인물들이 모여 발생하는 상황을 다루고 있지만, 사실 그 인물들의 캐릭터 중 인상적인 인물이 하나도 없습니다. 영화의 주연인 류승범이 맡은 ‘로이드’는 안타깝게도 가장 그러한데(주연이어서 더더욱), 광고에 한량스럽다느니 하는 등 유쾌하고 가벼운 캐릭터일 듯 했던 ‘로이드’는 그러한 성격은 물론이고 그와 다른 캐릭터성도 딱히 드러나지 않는 전혀 색깔 없는 캐릭터로 나옵니다. 어디 하나 딱히 매력적인 캐릭터가 없는 것에 이어서, 영화의 내용 역시 어딘가 몰입을 할 부분이 없습니다. 극의 굴곡 없이 평탄한 이 영화는 그렇게 끊임없이 지루함을 유발시킬 뿐입니다.

또한, 이 영화의 장르인 코메디에서도 함량 이하입니다. 캐릭터들이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하니 그들을 통해서 웃음을 자아내기도 한계가 있고, 현시대의 드라마 내용을 그 시대에 등장시키는 요소도 처음 이후로는 그저 시큰둥할 뿐입니다. 그러다보니 엔딩을 결정도 못하고 계속 바뀌는 극에 고민하는 작가의 캐릭터로 인해 현시대 드라마 제작 형태를 은유하는 모습만 더 크게 눈에 띕니다. 코메디 영화로 앞이든 뒤든 웃음을 줘야 하는데, 영화는 어디서 웃으라는건지를 뭐를 황당함을 선사하기에 이릅니다.

그렇게 영화는 진행되어 끝을 향해 가고, 일제는 로이드에게 드라마의 내용을 학도군 자원을 부추기게 하는 내용으로 끝내라고 지시하지만 로이드는 이에 크게 반발합니다. 이 장면을 통해서 이 영화의 가장 큰 제작의도를 알 수 있습니다. 사실 그간의 로이드 캐릭터로는 그가 이런 모습을 모이기에는 참 애매하거든요. 청진기대보면 진단이 나온다고, 이 영화는 설을 앞두고 있는 시기에 코메디물이 흔히 말하듯 먹히기에 충분하니 그것으로 정하고, 일제 치하를 배경으로 해서 그를 통한 약간의 민족성을 자극해보자는 그 생각만으로 제작된 안일한 영화입니다. 어떤 것 하나 제대로 통하지가 않아서 더 문제지만 말입니다. 한국 영화 힘들다고 하죠? 그런데 아직 그렇게 많이 안 힘든가봐요. 아직도 이렇게 얼렁뚱땅 만들어서 극장에 거는 것 보면 말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