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트

스티븐 킹 소설 원작, 그리고 그의 다른 소설 "쇼생크 탈출", "그린 마일"의 영화판을 감독했던 프랭크 다라본트가 다시 연출을 맡은 "미스트"(The Mist)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들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원작과 다른 결말이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이하 경어가 생략됨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 짐 그론딘 역을 맡은 윌리암은 새들러는 소설 "안개"("미스트"의 원작 소설) 의 오디오 버전에서 데이빗 드레이튼을 연기했었다.

- 타이트한 촬영 스케쥴에서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프로듀서이자 감독인 프랭크 다라본트는 "쉴드"(The Shield)의 촬영 스탭들을 기용했다. 그들은 빡빡한 TV 드라마 제작환경에 익숙했기 때문에 더 빨리 촬영할 수 있었다.

- 영화의 오프닝에서 데이빗이 그린 그림은 스티븐 킹의 작품인 "다크 타워"(Dark Tower) 시리즈에 나오는 총잡이 롤랜드이다. 또한,방안에 있는 다른 포스터는 존 카펜터 감독의 영화 "괴물"(The Thing)이다. 존 카펜터는 "미스트"와 유사한 테마를 공유한 영화 "더 포그"(The Fog)에 작가 및 감독으로 참여했었다.

- 오프닝의 그림 외에도 영화는 스티븐 킹의 "다크 타워" 시리즈와 직접적으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카모니 부인이 말하는 대사 "내 삶은 당신의 것입니다."(My life is for you)가 그것이다. 이 대사는 "다크 타워"에서 많은 악역들이 했던 대사이다.

- 영화의 액션 장면에서 한 남자가 책이 있는 선반 쪽으로 뛰어드는 장면에서 결국은 선반이 엎어지는데, 그때 짧게 스티븐 킹의 소설이 보인다.

- 약국에 갔을대, 데이빗은 아들을 위해 만화책을 집어든다. 그 만화책은 "헬보이"(Hellboy)다.(스테판 주 : "헬보이" 역시 다른 차원의 존재들에 관한 내용을 그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 시네펙스 매거진에 따르면, 원작의 끝 쪽에 나오는 장면 중 하나가 각본에는 없었다고 한다. 그 장면은 데이빗 드레이튼과 아들, 그리고 일행이 차를 타고 가다가 네 개의 다리를 가진 거대한 그것을 목격하는 장면이다.  다라본트는 이 장면을 각본에서 삭제했었는데, 특수효과를 맡은 회사 CafeFX의 사람들이 그를 설득해 영화에 포함되게 되었다고 한다.

출처 : IMDB

2008/01/11 - [Movie/Review] - [리뷰] 미스트 (The Mist, 2007)

미스트
영화 미스트는 스티븐 킹의 단편소설 “안개”를 원작으로 한 영화입니다. 또한, 그간 스티븐 킹의 다른 소설 “쇼생크 탈출”, “그린 마일”을 연출했던 경력이 있는 프랭크 다라본트가 연출을 맡았습니다.

영화는 어느 날 들이닥친 정체모를 안개와 그 안개 속의 정체모를 무엇. 그것에 생명의 위협을 느끼고 마트에 갖힌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감독 프랭크 다라본트는 이 영화에서 원작의 것들을 최대한 충실하게 재현해냅니다. 필요에 따른 일부의 각색은 있으나, 심지어 원작의 대사까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감독의 그런 의도를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원작도 그렇고 영화도 그렇고 이 이야기에서 공포를 조성하는 요소는 안개 속의 정체 모를 그것보다는 그것들에 의해 마트에 갖히게 된 사람들의 모습입니다. 밀폐된 공간에 갖힌 사람들은 생명의 위협에 두려워하며 점점 평상심을 잃어갑니다. 그간의 쌓여있던 감정이 폭발해 서로를 믿지 못하기도 합니다만, 눈앞에서의 죽음을 본 후에는 서로 힘을 합치고 위기를 극복해보려고 합니다. 하지만 제한된 공간 내에서 시간이 지속되면서 사람들은 이성을 잃고 결국 편이 갈리게 됩니다. 여기서 그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것은 종교에 대한 광신입니다. 처음에는 그저 미친 소리로 치부하던 사람들이 더 이상의 해결책도 없고 희망이 점차 줄어들자 결국은 종말을 외치는 커모디 부인의 말에 귀를 기울이게 되고 그녀를 추종하게 됩니다. 인간제물을 바치라고 외치는 그녀와 그의 추종자들의 광적인 모습은 극한의 상황에서 보이는 인간의 추악한 모습과 그 무서움을 보여줍니다. 원작에서는 이와 더불어 도리에는 어긋나지만, 극한의 상황에서 생물이 보이는 종족번식의 본능 역시 살짝 드러내보이기도 합니만 영화에서는 다른 인물들로 대체되어 스쳐지나갑니다. 이성을 잃고 광적이 되어가는 사람들의 모습에 더욱 집중케하기 위한 의도인 듯합니다.

사실 이 영화에서 가장 맘에 들었던 것은 원작을 충실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소화해내는 부분도 있었지만, 진짜는 원작과 유일하게 크게 다른 부분. 원작과는 다른 결말입니다. 원작소설에서는 독자나 관객이 스스로 결정하도록 결론을 열어두는 것을 ‘비겁한 결말’이라고 부르면서도 조금은 희망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열린 결말로 끝을 맺습니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확실한 마무리를 지어줍니다. 희망적인 분위기는 없는 비극적인 결말로 말입니다. 원작에서는 볼 수 없었던 가슴을 답답하게, 그리고 아프게 만드는 그런 엔딩. 그러한 결말이야 말로 극한의 인간 심리를 크게 드러낸 이야기와 안개가 자욱하게 낀 이 세계에서 가장 어울리는 모습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2008/01/14 - [Movie/Trivia] - [트리비아] "미스트"에 관한 소소한 이야기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