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지.아이.조 : 전쟁의 서막"(이하 지 아이 조)는 올여름 헐리우드 블럭버스터 중 가장 실망스러운 영화로 생각됩니다.
하스브로의 유명한 완구를 기반으로 한 "지 아이 조"는 근미래를 그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영화는 신무기를 운반하던 듀크(채닝 테이텀 분)가 정체모를 일당들에게 습격을 당하며 시작합니다. 그 일을 계기로 듀크와 동료는 '지 아이 조'라는 조직에 대해 알게 되고 신무기를 악당들에게 빼앗긴 후, '지 아이 조'의 일원이 되어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악당들을 상대하게 됩니다.
내용은 말그대로 초간단합니다. 전형적인 헐리우드 팝콘 무비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컨셉의 영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그 컨셉의 정도가 너무도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어차피 이런 영화에서 스토리야 기대하는 것이 부끄럽지만 이 영화는 그 정도가 너무합니다. 기본적인 배경의 설명 역시 과감하게 생략하고 들어가는 영화는 간단하게 획일화한 선과 악의 구분을 통해 영화의 갈등 구조를 유지합니다. 그러한 갈등 속에 각각의 편에 여러 명의 캐릭터가 등장하지만, 그 캐릭터들이 뚜렷한 족적을 남기는 것도 없이 영화 상에서 희미한 잔영만을 남길 뿐입니다. 이 캐릭터의 매력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영화의 재미나 구성면에 있어서도 큰 도전이었을텐데, 결국은 실패로 돌아간 것입니다. 아니, 영화를 보노라면 애초에 그럴 생각이 아예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가뜩이나 위태위태한 스토리라인 속에 캐릭터들의 매력 조차 제대로 펼쳐보이지 못하면서 영화는 나락의 구렁텅이를 향해 한발한발 내딛어 갑니다. 그리고 가장 최악은 뒤늦게 설명하는 배경을 통해서 되지도 않는 반전을 시도하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서기 2009년에 이런 식의 진행을 해 나가는 배짱이 가히 놀랍기 까지 합니다. 반전을 시도함에 있어서는 그 이전 영화의 흐름에 있어서 충분한 배경을 깔고 그것을 바탕으로 뒤짚기를 시도하는 것이 기본일진데 이 영화는 그저 순간의 충격을 주고자 아무런 준비없이 그저 말일뿐인 '반전'을 보여줍니다. 이 반전의 충격은 놀라움이 아니라 황당함과 허망함의 충격입니다.
같은 하스브로의 완구를 바탕으로 영화화된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경우, 어차피 유치한 이야기라는 점에서는 동일할지 모르나 그 이야기를 그럴싸하게 포장하고 최소한 거부감은 없게 풀어놨습니다. (물론 2편은 1편에 비해 못하지만.) 그리고 자신이 가진 단점을 압도적인 시각적인 효과로 완전히 감싸안았습니다. 하지만 "지 아이 조"는 나름 힘을 기울였을 CG까지 유치함이 더해져 이야기의 단점을 커버하지 못합니다. 액션신의 효과나 연출 역시도 이 영화만의 특색있는 모습이 아니라 어디에서인가 본 것 같은 모습으로 새로울 것이 전혀 없는 모습을 보이며, 후반부의 클라이막스 전투 장면은 마지막의 강한 한 방이 아니라 오히려 맥없는 자포자기의 수준을 보입니다.
개봉 직전, 영화가 형편 없어 테스트 시사 후 감독인 스티븐 소머즈가 해고되었다는 악성 루머가 돌기도 했습니다. 영화의 본편을 보고난 후에는 그 루머가 '악성'이 아니라 진짜가 아닐까 하는 의구심마저 듭니다. 이 영화, 그 정도입니다.
국내에는 이병헌의 출현으로 더욱 알려진 액션 영화 "G.I. 조: 라이즈 오브 코브라"(G.I. Joe: The Rise of Cobra)에 대한 흉흉한 루머가 전해졌습니다.
바로 감독인 스티븐 소머즈가 해고되었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이야기는 Don Murphy's message boards(현재는 접속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를 통해 전해졌습니다. Endtimes이라는 작성자가 올린 글의 일련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G.I. 조: 라이즈 오브 코브라"의 테스트 시사회 결과 관객들의 평점에 있어서 역대 파라마운트 영화 중 최하의 점수를 받았다고 합니다. 그에 따라서 스티븐 소머즈는 해고되었고, 편집실에서 쫓겨났다고 합니다.
결국 스튜어트 베어드라는 이런 망가진 영화를 수정해주는 ('fixer'라고 한다고 합니다.) 편집자가 고용되어서 현재 이 영화가 개봉할 수 있을지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는 와중에 제작자 로렌조 디 보나벤츄라("트랜스포머" 시리즈의 제작자이기도 합니다.)는 그의 힘이 더 이상 이 영화에는 필요없다고 말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스티븐 소머즈의 경우 에이전트의 의견대로 워너에서 만들게 될 "타잔"의 작업에 합류했다가 해고 소식이 헐리우드 내에 퍼지기 시작하자 다시 편집실로 불러들여졌으나, 그것은 그냥 '모양새'만 그럴 뿐 여전히 편집은 스튜어트 베어드가 편집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소식은 앞서 밝혔듯이 어떤 그럴듯한 확증이나 물증이 없는 말 그대로의 루머일 뿐입니다. 이 루머가 말도 안되는 헛소리일지, 아니면 진짜일지는 시간이 좀 더 흘러 어떤 공식적인 반응이나 대응이 있어야 확인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제 생각으로는 아무리 그래도 개봉을 얼마 앞둔 시기에 한두푼 든 영화도 아닌데 (-) 요인으로 작용할 일을 스튜디오가 굳이 할 필요가 있나 생각됩니다. 즉, 그저 악의적인 헛소문이 아닐까 판단됩니다. 하지만, "G.I. 조 :라이즈 오브 코브라"의 영상이 공개된 후, 해외에서는 반응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러한 낮은 기대치가 이런 소문을 나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G.I. 조: 라이즈 오브 코브라"는 하스브로의 장난감 캐릭터들과 그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영화화하는 작품으로 G.I. 조 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엘리트 군사팀이 'The Pit'라는 작전명 아래 악명 높은 군수업자들로 이루어진 사악한 적들을 상대한다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에는 채닝 테이텀, 시에나 밀러, 데니스 퀘이드, 조셉 고든 레빗 등이 출연하며, 이병헌이 스톰 섀도우 역으로 등장하며, 북미기준 8월 7일 개봉합니다.
리들리 스콧 감독과 러셀 크로우의 다섯번째 만남이자, 리들리 스콧 감독판 로빈 훗 이야기로 화제를 모았던 영화 "노팅엄"(Nottingham)에 문제가 생긴 듯 합니다. 이미 문제야 이전의 작가노조 파업과 촬영지의 숲이 더 푸르기를 바라는 감독의 요구 등으로 인해 촬영이 올해 2월~3월로 연기된 상태였는데, 이번 문제는 주연배우 러셀 크로우 때문입니다. 그리고 좀 커보입니다.
뉴욕포스트 온라인이 가쉽란을 통해 전한 소식에 의하면, 러셀 크로우는 촬영에 맞춰서 15kg을 빼기를 요구 받았었는데, "바디 오브 라이즈" 때의 모습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영화에서 러셀 크로우는 노팅엄 영주와 로빈 훗 1인 2역을 맡았습니다. 촬영이 연기된 상태에 더해 이 문제로 어제 매리언 역을 맡았던 시에나 밀러가 이 프로젝트에서 떠났다고 합니다.
이에 관해 이 소식을 전한 내부관계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엉망진창이다. 러셀 크로우는 "바디 오브 라이즈" 때의 몸무게를 유지하고 있는지라 영화 상에서 등장할 그와 시에나 밀러 사이의 러브씬은 우수꽝스러울 것이다. 그는 너무 늙고 뚱뚱하고, 그녀는 너무 젊고 멋지다. 그것은 추잡해 보일 것이다.
또한, 헐리우드 내부에서 나오는 이야기로는 프로듀서가 더 나이가 많고 통통한 여배우를 찾고 있다고 합니다. 러셀 크로우가 배불뚝이 할아버지처럼 보이게 하지 않기 위해서 말이죠. 나이대는 30대 혹은 40대 초반의 여배우를 말입니다. 밀러 측의 대변인은 이에 대해서 언급하기를 거부했습니다.
러셀 크로우는 이에 그치지 않고, 각본의 수정 또한 요구했다고 합니다. 원래는 매리안과 로빈 훗, 그리고 노팅엄 영주 사이의 삼각로맨스를 다룰 예정이었는데, 이제는 러셀 크로우의 로빈 훗 영화가 되었다고 하는데, 40 페이지의 각본이 다시 쓰여졌고, 모든게 그에게 맞춰져 있는 상태라고 하는군요.
가장 충격적인 것은 러셀 크로우가 리들리 스콧을 해고하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지난 홀리데이 시즌에 여러 유명 감독들에게 감독 교체에 관한 연락이 갔는데 내부인의 말에 따르면, 이것은 모두가 리들리 스콧의 등 뒤에서 일어난 일로, 그는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고 합니다.
스튜디오의 대변인은 시에나 밀러가 이 영화에서 떠난 것은 인정했지만, 그 외의 다른 루머들은 부인했으며, "노팅엄"은 러셀 크로우와 리들리 스콧이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뭐랄까, 너무 황당무계해서 믿기지가 않을 정도의 이야기입니다. 가쉽란에 실린 것이지라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를 모르겠네요.
영화 "노팅엄"은 애초에는 올해 개봉이었으나 연기되어 북미기준 2010년 1월 7일 개봉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