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처럼 나비처럼
총체적 난국. 영화 "불꽃처럼 나비처럼"을 말하는데 있어서 이만한 표현이 더 있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조승우, 수애가 주연을 맡은 영화 "불꽃처럼 나비처럼"은 이미연이 "나 가거든"의 뮤직비디오에서 연기한 '나는 조선의 국모다.'의 명성황후 이미지와 그리 다르지 않은 명성황후 민자영을 그리고 있습니다. 둘다 야설록의 소설 "불꽃처럼 나비처럼"을 그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0분 가량의 뮤직비디오와 2시간의 영화를 비교한다는 것은 좀 어폐가 있습니다만 무리를 해서 비교하자면 차라리 그 10분짜리 뮤직비디오가 더 낫다는 생각이 들 뿐입니다.

영화는 무명(조승우 분)의 어린시절과 이어서 무명과 민자영(수애 분)의 만남을 보여주며 시작해 연결고리 없는 사건과 사건의 배치로만 이어나가다 명성황후의 죽음으로 마무리를 합니다. 2시간의 이야기를 보여줌에 있어서 앞뒤 사건 사이의 정황이나 이음새를 가다듬지는 못하고 그저 멀리 떨어져있는 징검다리 돌 위를 위태롭게 건너뛰고 있다 할 수 있다 할 수 있습니다. 한 남자가 한 여자를 사랑한다는 모양새만 보여주는 것으로 극의 전개와 상황의 변화를 관객이 납득할 수는 없습니다. 시대극으로서, 명성황후와 해당 시대의 그 밀접한 관계를 그려내기에도 실패하면서 영화는 멜로 영화로서의 위치도, 시대극으로서의 위치도 잡지 못하는 꼴을 보입니다.

극의 연결성을 떨어뜨리는 데에는 액션신도 한 몫을 합니다. 급작스러운 등장으로 전개의 맥을 딱 끊어먹기 때문인데 더 큰 문제는 액션신 그 자체로 보더라도 난발된 CG부터 해서 만족스러운 모습을 보이지 못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중간의 대결장면은 마치 "1724 기방난동사건"의 그것을 보는 듯 해 손발이 오그라듭니다.) 영화에 있어 무엇이 더 우선이 되어야 하는지를 분간 못하고 눈요기로 어떻게 좀 해보려는 듯 한데 여러모로 패착입니다.

영화의 완성도 여부와 그에 대한 책임은 결국 감독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습니다. 그것이 어떤 때는 가혹하다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지만, 이번 영화만큼은 무엇보다도 감독의 탄식이 나오는 연출력이 영화가 최악의 길로 빠지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는 것이 자명하기에 다른 어떤 이유도 내밀지 못할 것입니다. 조승우와 수애라는 그 나이 또래에서 인정받은 배우들과 100억원에 가까운 제작비를 들여 나온 결과물이 이러하기에 그 초라함은 커져만 갑니다.

고고70
"후아유", "사생결단"의 최호 감독의 신작 "고고70"은 70년대 우리나라 대중음악계의 일련의 사건들을 영화적으로 재구성한 영화입니다. 그룹 데블스의 탄생과 활동을 영화는 그리고 있습니다. 새마을운동과 유신, 그리고 이어진 긴급조치 9호등의 당시 사회적 사건들이 맞물려 그려지지만, 이 영화에서 그러한 사건들은 배경적 요소로 스쳐지나갑니다. 이 영화가 그리고자 하는 것은 타오르는 젊음, 그 젊음에서 우러나오는, '좋아, 그냥 가는 거야!', 한바탕 놀아보자입니다.

70년대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이기에 개인적으로 우려를 가지기도 했습니다. 한국영화계의 주요관객층은 20대, 좀 더 범위를 넓히면 10대인데 80~90년대 생인 (저를 포함한) 그들이 70년대의 분위기를 이해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가 컸기 때문입니다. 이 우려는 반은 맞았고 반은 비켜갔습니다. 만약, 영화가 앞서 언급한 박정희 정권의 일련의 사건들이 크게 중심이 되었고, 영화 속 그들의 모습이 그러한 억압에 저항하는, 자유를 꿈꾸는 모습으로 크게 비쳐졌다면 단연코 실패했다고 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영화는 그보다는 '놀자'라는 단순명쾌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금요일 밤, 클럽데이면 홍대앞을 가득 채우는 젊은이들이나 영화 속에서 그려지는 70년대를 살아가던 아버지 뻘 세대의 그들이나 놀고 싶다는 그 욕망에 그저 충실할 뿐이니까 말입니다. 영화는 이 '놀자' 정신을 바탕으로 세대의 공통점을 이끌어냅니다만, 반은 맞은 우려는 결국 그 '놀자'를 위해 구성된 영화의 극적구성이 그저 연대기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영화의 모든 포커스는 공연과 음악에 맞추어져 있을 뿐이지, 일반적인 극적인 흐름에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등장하는 캐릭터들도 그러한데, 각 캐릭터들의 성격 및 특징들이 크게 드러나지 않습니다. 반대로 이야기하자면, 음악이 등장하는 공연장면의 촬영을 비롯한 연출 등은 인상적이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만. 극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공연 장면은 분명 이 영화의 하이라이트이자, 가장 큰 즐거움을 선사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음악은 분명 신나고 좋더라도, 단순히 '놀자'라는 공통점과 그 음악 하나만으로 영화를 즐기라고 말하기에는 조금은 부족해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조승우는 이미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이것 밖에 본적이 없다는...) 등에서 가창력을 충분히 선보였기에, 이 영화에서의 그의 모습은 마치 당연한 것 처럼 보입니다. 워낙 그 방면으로 알려진 배우인지라 왠지 본전치기하는, 손해보는 느낌이랄까요. 그 외의 차승우 같은 경우는 역시나 음악을 위해 희생한 연기력 정도로 봐야할 듯 합니다. 영화의 홍일점이라고 할 수 있을 듯한 신민아는 의상이나 춤 등에서 노력하는 모습은 보이나, 영화 자체가 캐릭터들을 중심으로 놓는다거나 그 캐릭터를 살리려 하고 있지 않기도 하고 이번에도 '신민아..어떤 영화에 나왔더라..'에서 그리 벗어날 것 처럼 보이지는 않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