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햄 123
토니 스콧 감독의 신작 "펠햄 123"는 존 고디가 쓴 ‘The Taking of Pelham One Two Three’라는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이 소설을 원작으로 처음으로 영화화되었던 조세프 서전트 감독의 1974년 작은 후에 "스피드" 등의 인질 액션 극에 영향을 줄 정도로 괜찮은 작품이었다 합니다. 하지만 제가 1974년 작을 보지를 못해서 이번 2009년 작의 비교는 사실상 무리이고 그렇다보니 단순히 이 작품에 대해서만 감상을 적도록 하겠습니다.

영화는 토니 스콧 감독의 작품답게 화려하고 스타일리시한 영상과 편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런 토니 스콧 감독의 연출 스타일은 국내에서도 좋아하는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압니다.

영화는 지하철과 그 안에 탑승한 승객들을 인질로 잡은 라이더(존 트라볼타 분) 일당과 뉴욕 지하철의 배차계원(뇌물 수수혐의로 강등 된) 가버(덴젤 워싱턴 분) 사이에서 벌어지는 일종의 기싸움을 다루고 있습니다. 인질극 상황이긴 하지만 영화는 딱히 큰 액션신을 보여주기보다는 대부분을 라이더와 가버의 대화로 이루어집니다. 그렇다보니 그런 상황에서 토니 스콧 감독 스타일의 영상 연출은 액션이라는 기대치를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입니다.

영화는 무전을 통해서 이뤄지는 라이더와 가버의 대립을 그리는데 그 대립을 이끄는 것은 상반된 두 사람의 캐릭터입니다. 우선적으로 두 사람의 인종이 흑과 백으로 다른 것부터 해서 히스테릭한 모습을 선보이는 라이더와 그를 설득하기 위해 침착함을 유지하려는 가버, 그리고 라이더와 가버의 서로 다른 방향의 한쪽 귀(라이더는 오른쪽, 가버는 왼쪽)에 한 귀걸이까지도 이 둘의 다른 점을 역설합니다. 이런 대립 관계에 집중케 하는 것은 덴젤 워싱턴, 그리고 특히 존 트라볼타의 연기입니다. 존 트라볼타의 라이더 연기를 보고 있노라면 묘한 리듬감에 즐거움을 얻는데 이 영화가 어떻게 보면 지나치게 배우의 연기에만 기대고 있다는 느낌이라고 봤을때 이들은 분명 영화에서 더없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대립은 현 미국사회 문제와도 일치합니다. 서프 프라임 모기지론 사태로 벌어진 경제위기가 그것입니다. 라이더가 가버에게 모기지 때문에 힘들지 않냐고 하는 놀림이나 라이더의 과거가 드러나는 순간 그것은 확실해집니다. 모기지론이 각종 파생상품으로 돌고도는 사이 월스트릿의 금융기업들은 실체없는 돈으로 그들만의 돈잔치를 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경제위기가 도래한 후로도 크게 달라진 바는 없습니다. 하지만 배우들의 호연이나 사회적 투영이라는 장치가 극의 재미로까지 이어졌나 생각한다면 그것은 또 아니라는 것이 짐으로 남습니다.

영화에는 21세기로 무대를 옮긴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인지 무선 인터넷과 웹캠이란 소재가 등장합니다. 인질이 가지고 있던 노트북을 통해 전송되는 웹캠 화면이 방송을 타고, 라이더는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서 주가를 확인합니다. 이런 소재자체는 등장 의도와 부합한다고 할 수 있겠지만 이 역시도 그 이상의 역할은 하지 못한다는게 아쉽습니다. 인질의 노트북을 극에 있어서 다른 역할로의 활용은 할 수 없었을까? 라는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가장 큰 아쉬움으로 남는 것은 존 트라볼타가 맡은 라이더의 캐릭터입니다. 사실 라이더의 캐릭터가 주는 느낌이 이 영화의 전체적 느낌가 정확하게 일치하는데 무언가 더 있을 것 같은데 그렇지 않은 허전함이 그것입니다. 라이더 캐릭터는 과거 자체도 아주 명확하게 영화상에 제시되지 않으며 그의 범행 동기 역시도 참으로 단순하기 그지 없습니다. 현시점의 몇몇 액션 영화들이 과거에 엃히고 이리저리 비비 꼬인 스토리로 관객의 머리를 복잡함으로 터지게 만드는 성향이 있긴 하지만, 단순한 흐름을 지향한다고 하기에는 이 영화는 단순을 너무 초라한 조촐함을 보입니다.

물론 토니 스콧의 장기를 통한 시각적인 즐거움을 이 영화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토니 스콧과 그의 페르소나라고 할 수 있는 덴젤 워싱턴, 그리고 존 트라볼타의 조합이라는 점에서 봤을 때 이 영화에서 느껴지는 것은 일종의 무기력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영화가 추구하는 영웅상이 어떤 전통적인 헐리우드 영웅상이라기보다는 소시민적 영웅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러한 영웅상을 구축하고 실현해 나가는 모습 역시도 어떤 동질감이나 몰입감을 제공해주지 못합니다.

기대가 컸던걸까요? 허전함과 아쉬움이 너무도 짙은 영화 "펠햄 123"입니다.

P.S ...이 영화의 런닝타임이 고작 '105분' 이라니... 왠만해서는 영화 보면서 시계를 안 쳐다보는데 무려 세번이나 봤다구요.


탐 크루즈 내일을 향해 쏴라

미국의 연예가쉽지 OK! 매거진이 전한 바에 따르면, 탐 크루즈가 존 트라볼타와 함께 1969년작 웨스턴 버디 무비 "내일을 향해 쏴라"(Butch Cassidy And The Sundance Kid)리메이크에 출연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탐 크루즈는 원작에서 로버트 레드포드가 맡았던 더 선댄스 키드 역을, 존 트라볼타는 故 폴 뉴먼이 맡았던 부치 캐시디를 연기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 소식을 전한 소식통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그간 다른 프로젝트보다 후순위로 밀려있었는데, 이제 탐 크루즈가 준비가 되었고 그에 따라 그가 보통 받는 그런 높은 출연료도 받지 않을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탐 크루즈는 원작을 8세 때 봤는데, 그때 받은 인상이 평생 남았으며 어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어한다고 합니다.

원작은 1890년대 서부를 배경으로 갱단을 이끌고 은행을 터는 부치 캐시디와 선댄스 키드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아카데미 각본상, 촬영상, 작곡상, 주제가상을 수상했습니다. 또한 이 영화의 캐릭터의 이름에서 로버트 레드포드가 만든 '선댄스 영화제'의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일단 탐 크루즈의 영화사인 유나이트 아티스츠의 설립 작품으로 로버트 레드포트가 연출 및 출연한 "로스트 라이언즈"가 있었고 그 영화에 탐 크루즈 본인도 출연을 했기에 둘이 인연이 있기는 한데, 연예가쉽지에서 전한 것인지라 좀 더 확실한 소식이 있을 때까지 기다려봐야 하겠습니다. 현재 탐 크루즈의 차기작은 제임스 맨골드 연출, 카메론 디아즈와 함께할 로맨틱 코메디, 데이빗 크로넨 버그 연출, 덴젤 워싱턴과 하는 스릴러물, 벤 스틸러와 함께 하는 "하디 맨"(The Hadry Men) 등이 거론 되고 있습니다.

토니 스콧 감독 연출, 덴젤 워싱턴/존 트라볼타 주연의 스릴러 "테이킹 오브 펠헴 123"(The Taking of Pelham 123)의 새 예고편이 공개되었습니다.

영화는 조세프 서전트 감독의 1974년 작을 리메이크 한 작품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뉴욕 지하철 통제부서에 일하는 월터 가버(덴젤 워싱턴 분) 경위의 여느때와 다름없는 평범한 일상은 지하철이 괴한드에게 납치를 당하면서 깨지게 됩니다. 지하철을 납치한 무장괴한들의 두목인 라이더(존 트라볼타 분)는 한 시간 내에 자신들이 원하는 돈을 주지 않으면, 인질로 잡은 승객들을 죽이겠다고 협박하고 가버는 그들을 막으려 합니다.


"테이킹 오브 펠헴 123"은 북미기준 6월 12일 개봉합니다.


토니 스콧 감독 연출, 덴젤 워싱턴/존 트라볼타 주연의 스릴러 "지하의 하이재킹"(The Taking of Pelham 123)의 예고편이 공개되었습니다

영화는 조세프 서전트 감독의 1974년 작을 리메이크 한 작품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뉴욕 지하철 통제부서에 일하는 월터 가버(덴젤 워싱턴 분) 경위의 여느때와 다름없는 평범한 일상은 지하철이 납치를 당하면서 깨지게 됩니다. 지하철을 납치한 무장괴한들의 두목인 라이더(존 트라볼타 분)는 한 시간 내에 자신들이 원하는 돈을 주지 않으면, 인질로 잡은 승객들을 죽이겠다고 협박하고 가버는 지하철 시스템 제어를 통해 그들을 막으려고 합니다.


덴젤 워싱턴은 "크림슨 타이드", "맨 온 파이어", "데자뷰"에 이어 네번째로 토니 스콧 감독과 함께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지하의 하이재킹"은 북미기준 6월 12일 개봉합니다.


토니 스콧 감독 연출, 덴젤 워싱턴/존 트라볼타 주연의 스릴러 "지하의 하이재킹"(The Taking of Pelham 123)의 포스터가 공개되었습니다.

지하의 하이재킹

영화는 조세프 서전트 감독의 1974년 작을 리메이크 한 작품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뉴욕 지하철 배차원인 월터 가버(덴젤 워싱턴 분)의 여느때와 다름없는 평범한 일상은 지하철이 납치를 당하면서 깨지게 됩니다. 지하철을 납치한 무장괴한들의 두목인 라이더(존 트라볼타 분)는 한 시간 내에 자신들이 원한느 돈을 주지 않으면, 인질로 잡은 승객들을 죽이겠다고 협박하고 가버는 자신이 알고 있는 지하철 시스템 제어를 이용해 그들을 막으려고 합니다.

덴젤 워싱턴은 "크림슨 타이드", "맨 온 파이어", "데자뷰"에 이어 네번째로 토니 스콧 감독과 함께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지하의 하이재킹"은 북미기준 6월 12일 개봉합니다.


디즈니가 자제 제작을 맡은 3D 애니메이션 "볼트"(Bolt)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됐습니다. 노래의 제목은 'I Thought I Lost You'로 영화에 성우로 참여한 존 트라볼타와 마일리 사일러스가 함께 불렀습니다.

영화 "볼트"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져먼 셰퍼드인 볼트는 그의 전 생애를 헐리우드에서 TV 액션 드라마를 촬영하며 살았습니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자신이 진짜 슈퍼파워를 가지고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뉴욕에서의 촬영 중 볼트는 사고를 겪게 되고 이것이 실제 위협상황인 줄 알고 탈출을 하게 됩니다. 이후 볼트는 주인인 페니를 찾기 위한 긴 여행을 떠나게 되는데(한마디로 미국 대륙횡단) 그 과정에서 고양이 미튼스와 햄스터 라이노를 만나 같이 여러 일들을 겪으면서 자신은 슈퍼파워를 가지고 있지도 않고, 그 쇼는 현실이 아니었음을 알게 됩니다. 영화는 "뮬란", "쿠스코? 쿠스코!"의 각본을 담당했던 크리스 윌리암스의 첫 감독데뷔작으로 픽사의 존 라세터가 총제작을, 존 트라볼타가 주인공 볼트의, 마일리 사이러스가 볼트의 주인인 페니 역의 성우를 맡았으며 국내에는 12월 31일 일반 및 디지털 3D로 개봉합니다.



디즈니가 자제 제작을 맡은 3D 애니메이션 "볼트"(Bolt)의 영화 속 클립이 공개되었습니다.

영화 "볼트"는 다음와 같은 내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져먼 셰퍼드인 볼트는 그의 전 생애를 헐리우드에서 TV 액션 드라마를 촬영하며 살았습니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자신이 진짜 슈퍼파워를 가지고 있다고 믿고 있지요. 그러던 뉴욕으로 보내진 볼트는 그런 생각으로 인해 이것이 실제 위협상황인 줄 알고 탈출을 하게 됩니다. 볼트는 주인인 페니를 찾기 위한 긴 여행을 떠나게 되는데(한마디로 미국 대륙횡단) 그 과정에서 고양이 미튼스와 햄스터 라이노를 만나 같이 여러 일들을 겪으면서 자신은 슈퍼파워를 가지고 있지도 않고, 그 쇼는 현실이 아니었음을 알게 됩니다.

영화는 "뮬란", "쿠스코? 쿠스코!"의 각본을 담당했던 크리스 윌리암스의 첫 감독데뷔작으로 존 트라볼타가 주인공 볼트의 성우를 맡았으며, 북미기준 11월 21일 일반 및 디지털 3D로 개봉합니다.

(역시나 길이가 좀 있어서 마이게임티비로 올립니다.)



디즈니가 자제 제작하는 3D 애니메이션 "볼트"(Bolt)의 새로운 클립이 공개되었습니다.

영화 "볼트"는 다음와 같은 내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져먼 셰퍼드인 볼트는 그의 전 생애를 헐리우드에서 TV 액션 드라마를 촬영하며 살았습니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자신이 진짜 슈퍼파워를 가지고 있다고 믿고 있지요. 그러던 뉴욕으로 보내진 볼트는 그런 생각으로 인해 이것이 실제 위협상황인 줄 알고 탈출을 하게 됩니다. 볼트는 주인인 페니를 찾기 위한 긴 여행을 떠나게 되는데(한마디로 미국 대륙횡단) 그 과정에서 고양이 미튼스와 햄스터 라이노를 만나 같이 여러 일들을 겪으면서 자신은 슈퍼파워를 가지고 있지도 않고, 그 쇼는 현실이 아니었음을 알게 됩니다.

영화는 "뮬란", "쿠스코? 쿠스코!"의 각본을 담당했던 크리스 윌리암스의 첫 감독데뷔작으로 존 트라볼타가 주인공 볼트의 성우를 맡았으며, 북미기준 11월 21일 일반 및 디지털 3D로 개봉합니다.



디즈니가 자제 제작하는 3D 애니메이션 "볼트"(Bolt)의 첫 예고편이 공개되었습니다.

영화 "볼트"는 다음와 같은 내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져먼 셰퍼드인 볼트는 그의 전 생애를 헐리우드에서 TV 액션 드라마를 촬영하며 살았습니다. 그러다보니 당연히 자신이 진짜 슈퍼파워를 가지고 있다고 믿고 있지요. 그러던 뉴욕으로 보내진 볼트는 그런 생각으로 인해 이것이 실제 위협상황인 줄 알고 탈출을 하게 됩니다. 볼트는 주인인 페니를 찾기 위한 긴 여행을 떠나게 되는데(한마디로 미국 대륙횡단) 그 과정에서 고양이 미튼스와 햄스터 라이노를 만나 같이 여러 일들을 겪으면서 자신은 슈퍼파워를 가지고 있지도 않고, 그 쇼는 현실이 아니었음을 알게 됩니다.

영화는 "뮬란", "쿠스코? 쿠스코!"의 각본을 담당했던 크리스 윌리암스의 첫 감독데뷔작이며, 북미기준 11월 26일 디지털 3D 상영으로 개봉 예정입니다. 그동안 디즈니가 제작한 3D 애니메이션들은 영~ 이었는데, 이번엔 어떨런지요. 아, 주인공 볼트의 성우는 존 트라볼타가 맡았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