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스
며칠 전, 제80회 아카데미 시상식 주제가상에 노미네이트 된 "원스"의 'Falling Slowly'에 대한 후보자격 논란이 불거졌다는 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

'Falling Slowly'("원스")의 아카데미 후보선정 기준 논란!

오늘 전해진 소식으로는, 아카데미 측에서 'Falling Slowly'의 후보자격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합니다.

'Falling Slowy'에 대해 논란이 일었던 이유의 첫번째는 영화 이전에 해당 음악이 다른 두 앨범을 통해 발매되었다는 것이고, 두번째는 해당 음악이 다른 영화에 이미 쓰여졌다는 것으로, 이 두 요인이 아카데미 주제가상 후보선정 기준에 어긋난다는 것이었습니다.

아카데미 음악 분과 위원장인 찰스 번스타인은 'Falling Slowy'의 아카데미 주제가상 후보자격 유지 결정을 알리면서 논란이 된 두 요인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첫번째 논란인 영화 이전에 다른 앨범을 통해 발매된 것에 대해서는, 감독인 존 카니와 작곡가인 글렌 핸사드, 영화사인 폭스 서치라이트를 통해서 자세히 알아본 결과 감독인 존 카니와 글렌 핸사드는 지난 2002년 부터 영화 "원스"와 관련한  음악 작업을 같이 했지만, 영화의 시나리오 작업이나 투자가 늦춰지면서 그 제작이 계속 연기되었고, 그러면서 완성된 곡을 다른 앨범을 통해 먼저 공개한 것이라고 합니다. 즉, ''노래나 가사가 애초에 영화를 위해 만들어졌어야 한다.'는 기준에 어긋나지 않습니다.

두번째 논란인 이미 다른 영화에 쓰여졌다는 문제는, 'Falling Slowly'과 쓰인 영화 "Kráska v nesnázích"(Beauty In Trouble)는 체코와 같은 유럽에서만 상영되었기에 그것이 이번 시상식과 관련해 어떤 이점이나 영향을 미칠 수 없기에 문제 삼을 이유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찰스 번스타인은 이 결정을 더블린에 있는 글렌 핸사드에게 전했으며, 글렌 핸사드는 이 소식을 듣고 무척 기뻐했다고 합니다. 또한, 찰스 번스타인은 논란이 해결된 것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이 논란이 해결됨에 따라서 "원스"의 'Falling Slowy'는 자격을 유지하게 되었고, 수상작을 결정하기 위한 아카데미 회원들의 투표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자격논란 소식과 관련해서 이곳 저곳을 돌아다니다보니 후보자격에 문제가 있다는 쪽의 주장이 일리가 있는듯 보여서 불안했는데, 좋은 쪽으로 풀려서 정말 다행입니다. "원스"의 'Falling Slowy'의 아카데미 수상을 기원합니다.
원스
뉴욕 타임즈의 데이빗 카에 의하면, 영화 "원스"의 'Falling Slowly'가 제80회 아카데미시상식의 주제가상(Originakl Song) 후보에 오른 것은 규정에 어긋난다고 합니다.

올해의 아카데미 후보작을 선정하면서 아카데미 위원회는 펄 잼의 리더인 에디 베더가 작업한 "인 투 더 와일드"의 사운드트랙과 라디오 헤드의 조니 그린우드가 작업한 "데어 윌 비 블러드"의 스코어 역시 기존 테마나 기존의 곡의 사용이 있다는 이유를 들어 최종적으로 후보작에서 제외시켰습니다.

데이빗 카에 의하면 같은 규정이 적용된다면, "원스"의 'Falling Slowly' 역시 자격기준에서 어긋난다고 합니다. 아카데미 주제가상의 선정기준에는 '노래나 가사가 영화를 위해 만들어지고, 그 최초의 사용이 해당 영화에서야 한다' 라는 것이 있는데, "원스"는 이 기준에 어긋난다는 것입니다.

이유는 'Falling Slowly'가 영화가 나오기 이전에 두개의 앨범을 통해서 이미 발매되었기 때문입니다. 'Falling Slowly'는 영화의 주인공인 글렌 헨사드가 리더로 있는 밴드 'The Frames'의 앨범 'The Cost'와 마케타 잉글로바와의 듀엣 앨범인 'The Swell Season'에 수록되어 있었습니다.

데이빗 카에 따르면, 이 문제와 관련해서 월요일(북미 기준)에 아카데미 위원회에서 논의가 있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Fallinsg Slowly'의 선정에 대해서는 이 외에도 이미 여러 곳에서 이의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데이빗 카가 이와 관련된 글을 올린 블로그의 댓글을 보면 'Falling Slowly'가 지난 2006년 9월 체코에서 개봉된 Jan Hrebejk 감독의 체코 영화 "Kráska v nesnázích"(Beauty In Trouble)에 이미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해당 영화의 예고편의 유튜브 링크 역시 덧붙였습니다.


추가로, 글렌 핸사드는 이전의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도 여러 곡이 영화 이전에 만들어졌으며, 몇몇 곡은 영화에 참여하게 되면서 감독인 존 카니의 요청으로 만들어졌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의 인터뷰와 현재의 정황으로 봤을때는 이의를 제기하는 측의 주장이 좀 더 설득력 있어 보입니다.

과연 어떻게 될지... 회의 결과가 주목됩니다.

2008/01/23 - [Movie/News] - 제80회 아카데미 시상식 노미네이션 리스트

영화 "원스"에 대한 몇몇 재밌는 이야기들을 소개하는 글입니다.

이하 반말체인점 양해부탁드립니다.

- 영화의 시작 장면에서 구경꾼이 주인공의 돈이 담긴 기타케이스를 훔쳐달아나는 장면이 있는데, 그것을 보고 있던 (영화에 상관없던) 다른 구경꾼이 그를 잡아 부상을 입혔다. 까닭은 이 장면을 촬영시 영화 스텝들이나 카메라 모두 멀찍이 떨어져 망원 렌즈를 이용해 찍었고, 일반인들에게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 감독과 스텝은 촬영 중 "사우스파크"가 종결된 것을 아쉬워하며, 주인공의 세션 멤버 중 한명의 이름을 '티미'라고 지었다.

원스
- 감독 존 카니는 이전에 밴드 '더 프레임즈'의 멤버였는데, 그 밴드의 리더가 글렌 핸사드였다.

- 영화 속 더블린의 모습으로 존 카니와 글렌 핸사드의 기억 속 10-15년 전 더블린의 모습을 담으려 했다.

- 영화의 이야기는 더블린에 살고 있는 감독 존 카니의 자전적 이야기로, 오랜기간 만난 그의 여자친구는 런던에 살고 있다.

- 그(Guy, 남자주인공, 글렌 핸사드 분)의 회상장면에서 나오는 여자친구는 감독 존 카니의 여자친구이다.

- 글렌 핸사드의 어머니가 파티 장면에서 노래 부르는 사람 중 한명으로 카메오 출연했다.

- 킬리언 머피가 처음에 주인공으로 캐스팅 되었으나, 고사했다.

- 남자주인공이 여주인공에게 남편을 사랑하냐고 물었을때, 그녀의 대답은 "No. I love you" 였다. 그러나 그녀의 대답은 체코어였고, 그래서 남자주인공은 그 말의 뜻을 알 수가 없었고, 자막으로도 표시되지 않았기에 관객들 역시 그 말의 의미를 알 수가 없었다.

- 남자 주인공 글랜 핸사드와 여주인공 마케타 잉글로바는 18살의 나이차를 극복하고 현재 교재 중이다.

2007/10/13 - [Movie/Review] - [리뷰] 원스 (Once, 2006)

출처 : IMDB 및 기타...
각종 영화제에서의 수상과 평단/관객의 호평을 받고 있는 영화 "원스"를 보고 왔습니다. 평이 좋고, 그에 따라 관객이 많이 찾아서인지, 상암CGV나 강변CGV 같은 인디관이 따로 있지 않은 용산CGV에서도 비록 한관에서 교차 상영이긴 하지만 많은 회차를 확보하고 상영 중입니다.

"원스"는 보통 뮤지컬 영화라고들 하는데, 우리가 접해왔던 "시카고"나 "드림걸즈"와는 그 맥이 다른 영화입니다. 기존 헐리우드의 뮤지컬 영화들은 대사에 음을 붙여 노래하는 방식이었다면, "원스"에서는 노래, 그 자체가 그들의 이야기이고, 영화의 이야기입니다. 그래서인지 그 노래가 주는 감동이 극대화됩니다. 이토록 영화와 노래가 잘 어울리는 영화를 본 것도 오랜만일 정도로요. 영화라는 많은 복합적 요소가 혼합된 예술에서 그 중 노래가 얼마나 큰 감동을 줄 수 있는지를 이 영화는 보여줍니다.

원스
이 영화는 단 15만달러의 제작비, 3대의 디지털 캠코더로 촬영된 영화입니다. 저예산 인디영화이기에 영화의 화질은 좋지 않지만, 이 영화에서 그러한 점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노래에 빠져들다보면, 영화에 빠져들다보면 그러한 것은 더 이상 신경 쓰이지 않게되기 때문입니다. 정말 간만에, 푹 빠져 볼 수 있는 영화였던 것 같습니다.

영화의 엔딩에 있어서는 보는 이들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가 있겠습니다만, 저는 만족한 편이었습니다.  남자 주인공도, 그리고 관객도 알지 못한 그녀의 대답, "밀루유 떼베"에서 느껴지는 그녀와의 사이에서의 어떠한 벽이 그러한 결말에 수긍하도록 합니다.  

또한, 영화의 엔딩 크레딧을 보시면 남자주인공과 여자 주인공 배역이 그(Guy)와 Girl(그녀)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너무나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다가오는 그들의 모습에 가장 알맞는 배역명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이번 주말이 가고, 다음주 신작 영화들이 개봉해도, "원스"가 계속 극장에 걸려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그렇기에, 혹시라도 이 영화 보기를 망설이고 계시다거나, 이번 주말에 어떤 영화를 볼까, 고민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어서 빨리 "원스"를 예매하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영화를 보고난 후 영화 OST를 주문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지금 OST의 1번 트랙, 'Falling Slowly'를 듣고 있습니다.

원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