닉 퓨리

마블이 사무엘 L. 잭슨과의 계약에 미적지근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마블은 팬들에게 많은 질타를 받았었는데요, 팬들은 그 질타를 즉시 철회해야 할 듯 싶습니다.

헐리우드 리포터에 따르면 사무엘 L. 잭슨은 닉 퓨리 역으로 마블의 9편의 영화에 출연하는 전례없는 계약을 맺었습니다. 그 9편의 영화들에는 "아이언맨2", "캡틴 아메리카", "어벤저스" 등과 그 영화들의 후속작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가 수장으로 있는 쉴드(S.H.I.E.D.)를 다룬 영화도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그가 연기하는 닉 퓨리를 가장 빨리 볼 수 있는 영화는 오는 4월부터 촬영에 들어가 2010년 5월 7일 개봉하는 "아이언맨2" 입니다.




워너브라더스가 자사의 다수의 영화들의 개봉일을 결정해 발표했습니다. 개봉일은 모두 북미 기준입니다.

-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들 2부 (Harry Potter and the Deathly Hallows: Part II) : 2011년 7월 15일. 1부가 2010년 11월 19일 개봉이기에 1부가 개봉한 후, 8개월 후에 2부가 개봉하게 됩니다.

- 조나 헥스 (Jonah Hex) : 2010년 8월 6일. DC의 유명 코믹스를 원작으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조쉬 브롤린이 주연을 맡은 영화입니다.

- 그린 랜턴 (Green Lantern) : 2010년 12월 17일. DC의 슈퍼히어로 코믹스를 원작으로 한 영화로 "007 카지노 로얄"의 마킨 캠빌이 감독으로 내정되었습니다.

- 인셉션 (Inception) : 2010년 7월 16일. "다크 나이트"의 크리스토퍼 놀란이 각본 및 연출을 맡은 SF물입니다.

- 석커 펀치 (Sucker Punch) : 2010년 10월 8일. "왓치맨"의 잭 스나이더가 연출을 맡은 스릴러 영화입니다.
 
- 타이탄족의 멸망 (Clash Of The Titans) : 2010년 3월 26일. "인크레더블 헐크"의 루이스 레테리어가 연출을 맡아 그리스 신화를 스크린으로 옮기는 영화입니다.

- 셜록 홈즈 (Sherlock Holmes) : 2009년 12월 25일. 기존 개봉일보다 한달 가량 연기되었습니다. 가이 리치가 연출을 맡은 작품으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셜록 홈즈, 주드 로가 왓슨 박사를 연기합니다.


그랜 토리노
흔히들 알고 있듯이, 감독이자 배우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보수파입니다. 그렇기에 공화당을 지지하는 인물이기도 합니다. 보수파, 공화당. 이러면 네오콘으로 상징되는 미국의 강경 보수 우익인 신보수주의를 떠올리기 쉽지만, 그는 보수라는 큰 틀 안에서 자유의지론자에 가까운 성향을 띤 인물입니다. 세르지오 레오네의 '달러 3부작', 혹은 그의 "용서받지 못한 자"처럼 총 하나 홀로 들고 자신의 판단과 정의로 서부를 누비는 총잡이, 그리고 "더티 해리", "밀리언 달러 베이비"에서 보이던 안락사 문제와 혈연관계로 이루어진 전통적 가족상의 어긋남과 그 붕괴를 대체하는 개인과 개인 사이의 관계에 대한 주목, "미스틱 리버"에서는 무너져 내린 정의를 수수방관하는 미국을, "체인질링"이 부당한 공권력에서 맞서는 한 어머니의 위대한 개인의지의 발로를 그리고 있는 것처럼 그의 연출작, 출연작에는 그런 그의 성향이 상세히 드러납니다. 그가 과거 USA 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은 자유의지론적(libertarian) 시선을 좋아한다고 밝히기도 했으니, 이건 확인사살 정도가 될까요?

그러한 그의 시선은 그가 연출 및 주연을 맡은 최신작 "그랜 토리노"에서도 이어집니다. '사실, 연기를 할 생각이 없었다. 하지만 내 나이대의 이야기였고, 나에게 딱 맞는 역할이라고 느껴졌다.'는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말처럼 이 영화는 그에게 딱 부합하는 영화입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맡은 역할은 한국전 참전용사이기도 한 월트 코왈스키라는 노인입니다. 코왈스키는 우리가 흔히 생각할 수 있는 그런 보수적인(이라고 쓰고, 꼰대스러운 이라고 읽습니다.) 노인입니다. 포드 공장에서 일하기도 했던 코왈스키는 그런 자신의 아들이 도요타를 몰고, 또 그 차의 딜러로 일하는 것에 신경질을 냅니다. 버르장머리 없는 손녀를 보며 잔뜩 인상을 찌푸리는 것 역시 빼놓지 않습니다. 그가 거주하는 동네는 백인들이 하나둘씩 떠나고 이제는 동양계인 몽족들이 이주해와 거의 몽 타운이 된지라 그 또한 그에게는 짜증나는 일입니다. 코왈스키의 옆 집에도 몽족 가족들이 살고 있습니다.

그랜 토리노

영화는 빈번히 성조기와 코왈스키를 같이 잡으며 둘을 동일시합니다.

처음에는 옆집의 그들과 갈들을 빚던 코왈스키는 수(아니 허 분)라는 소녀를 알게 되면서 점차 변화를 겪습니다. 그리고 수를 통해 그녀의 동생인 타오(비 방 분)를 만나게 됩니다. 타오는 몽족 갱단의 신고식으로 인해 원치않은 일이지만 코왈스키의 1972년 형 그랜 토리노를 훔치려다가 들키고 그 이후로 감정의 골이 있는 상태이지만, 수의 노력으로 그 둘은 점차 가까워집니다. 하지만 수와 타오를 괴롭히는 몽족 갱단의 횡포는 점차 심해지고, 코왈스키는 그의 인생에서의 중대한 선택을 하게 됩니다.

코왈스키는 몽족 갱들에게 괴롭힘을 당하기만 하는 타오를 '겁쟁이'(big fat pussy)라고 칭하며, '스스로 맞서 싸우라고'라고 말합니다. 자신과 가족의 안녕은 자기 스스로가 나서야 지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타오는 그의 말을 따르지 못합니다. 그는 아직 어리고, 아직 많은 것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코왈스키는 그런 타오를 재촉하기 보다는 일종의 멘토의 역할을 자임합니다. 지금은 아닐지라도 언제가는 스스로로 나설 수 있도록 준비를 시키는 것입니다.

영화는 코왈스키와 타오의 이런 관계를 통해 "밀리언 달러 베이비" 처럼 개인과 개인 사이의 관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코왈스키와 아들의 관계는 그다지 좋지 않습니다. 그럴 만도 합니다. 코왈스키는 무뚝뚝하고 자식에게 정을 표현하는 법을 몰랐고, 아들은 어떻게 하면 아버지 집을 팔아치울까 아니면 혹시 아버지를 통해 풋볼 티켓을 구할 수 있지 않을까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거기다 손녀의 관심사는 할아버지가 죽으면 그랜 토리노는 내가 차지할 수 있을까 입니다. 코왈스키에게 양로원 팜플렛을 내미는 아들 내외의 모습은 "밀리언 달러 베이비"에서 매기에게 재산위임계약서에 서명하라던 그녀의 가족들 같습니다. 매기(힐러리 스웽크 분)가 혼자였던 것 처럼 "밀리언 달러 베이비" 속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하나밖에 없는 혈육인 딸에게도 외면 받는 실패한 트레이너였으며, 이 영화의 코왈스키 역시 혼자입니다. 코왈스키가 새롭게 관계를 맺는 이들은 그가 경멸하던, 그와 다른 인종인 수의 가족입니다. 수의 초대를 받고 간 파티에서 문화의 차이도 느끼긴 하지만 새로운 경험과 만남으로 인해 점차 그들에게 마음을 열게 됩니다. 수는 그런 코왈스키에게 아버지가 해주지 못했던 타오의 롤모델이 되어달라고 부탁합니다. 그렇게 그들은 일종의 유사가족관계를 이루게 됩니다. 이들은 "용서받지 못한 자"와 "밀리언 달러 베이비"에서의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모건 프리먼처럼 인종의 경계를 넘어선 관계입니다. 극도의 보수주의자로 인종차별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던 코왈스키가 그 생각의 벽을 허물고 수와 타오의 가족과 가까워지고 마음을 열어가는 과정을 통해 영화는 반인종차별주의적 생각을 분명히 드러냅니다.

용서받지 못한 자 밀리언 달러 베이비 밀리언 달러 베이비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로 자노비치 신부(크리스토퍼 칼리 분)가 있는데 그는 코왈스키의 아내가 신신당부했다며, 그에게 고백성사를 통해 죄를 용서받고 마음의 평온을 얻으라고 합니다. 그는 끈질기게 그를 찾아와 설득하려 하지만 성공하지 못합니다. 코왈스키는 자노비치 신부에게 자신은 교회를 믿지 않으며 자신의 마음을 괴롭히는 것은 어떤 명령(과 같은 외부의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행동이라고 말합니다. 그간의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영화들에서처럼 그에게 중요한 것은 종교나 법이 강제한 무엇이 아니라 자기자신의 생각과 판단, 그리고 그 행동입니다. 그의 마음을 괴롭히던 것의 해결 역시 종교에서 해결할 문제가 아닙니다. "밀리언 달러 베이비"에서 그는 성당을 찾았고 신부에게 물음을 던졌지만, 그에게 명확한 답이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죽어가는 그의 또 다른 '혈육'을 위한 결정에 종교는 반대를 표했지만 그는 그녀를 위해 결심을 하고 행합니다. "그랜 토리노"에서도 그는 자신의 마음을 위로할, 그로 인해 평온해질 방법을 종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찾아 결정합니다. 몽족 갱단들이 있는 한 수와 타오, 그리고 그들의 가족이 결코 평화로워질 수가 없다고 생각하고 그런 판단이 가장 우선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그는 타오의 얼굴에서 그를 괴롭히던 과거의 상을 떠올렸을 수도 있습니다. 스스로 일어선 그 분연한 의지와 결단은 다른 이들에게는 평화를, 그에게는 그를 괴롭히던 마음의 불안을 잠재워줍니다. 십자가의 예수와 같은 그의 모습은 그것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자노비치 신부는 말합니다. 코왈스키에게서 오히려 많은 것을 배웠다고.

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영화 속 코왈스키의 차 '그랜 토리노'는 많은 이들의 부러움을 사는 차입니다. 몽족 갱단들이 눈독을 들이는 차이기도 하며, 코왈스키의 지인 역시 관심을 가집니다. 그가 가진 그 차는 단순히 멋있는 자동차가 아니라 성공을, '아메리칸 드림'을 상징합니다. 코왈스키가 소유하고 있던 그랜 토리노를 훔치려드는 몽족 갱단의 모습은 결국 미국의 주류인 백인보수층이 다른 인종들을 바라보는 시각입니다. 자신들의 성공을 훔쳐서 좀먹으려는 존재들. 그들은 처음 코왈스키가 보여줬던 것처럼 총을 겨누며 막아섭니다. 하지만, 코왈스키는 변합니다. 타오와 정을 나누면서 그는 타인종이 무조건적인 악이 아니라 타오와도 같은 선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았으며 타오를 가족과도 같은 관계로 받아들입니다. 코왈스키가 타오에게 가르치는 것은 그저 남자답게 사는 방법이 아니라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성공해 일어나는 방법입니다. 코왈스키가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이 아닌 타오에게 자신의 그랜 토리노를 넘겨주는 것은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그 성공의 희망을 주류 백인들만의 울타리에 가두고 차별하는 것이 아니라 타오로 대변될 수 있는 다른 인종의 미국인들과도 나누는 것입니다. 영화는 그것이 저무는 세대가 새로운 세대에게 주는 선물이자 역할이라고 말합니다. 코왈스키의 굳은 결심과 어우러진 그 의미는 더욱 빛나며 누구나 꿈꿀 수 있고 그렇기에 희망을 품을 수 있는 '아메리칸 드림'이 지금의 미국을 있게 했다는 것에 비추어 그 가치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합니다.

그랜 토리노

'아메리칸 드림'의 또다른 상징. 코왈스키의 그랜 토리노.

영화 "그랜 토리노"는 인생의 경험이 많은, 그리고 신념이 굳은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는 것 같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때로는 웃음을 주며,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가슴 깊이 울리는 감동을 함께 전해 줍니다. 강압적으로 윽박지르는 설교를 늘어놓는게 아니라 머리와 가슴으로 모두 생각케 하는 뜻깊은 교훈을 남기는 그런 이야기. 그 이야기는 그의 인생 모든 경험이 총집대성된 이야기입니다. 과거에는 서부의 총잡이로, 때로는 강력계 형사로, 가장 최근에는 한 모성을 지지했던 그의 인생 이야기말입니다. 그는 너무도 훌륭한 감독이자, 배우이자, 그리고 보수주의자입니다.

우리나라 나이로 여든의 고령에도 누구 못지않은 정력적 활동으로 끊임없이 훌륭한 작품을 만들어주시는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님에게 존경과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그의 전작 "체인질링" 때에도 했던 말이지만 감독님, 오랫동안 저희 곁에 머물러주세요.

P.S 아카데미는 이 영화를 왜 작품상이나 감독상 후보로 선택하지 않았을까요? 올해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숀 펜이 수상소감에서 웃으며 말한 바처럼 '그들이 호모를 더 좋아해서' 일까요? (농담)

P.S2 영화에서 나름 눈에 띄는 장면은 그의 "용서받지 못한 자"를 연상케 하는 장면입니다. "용서받지 못한 자"를 보신 분들이라면 그 장면으로 인해 오히려 더 많은 감정의 교차 혹은 반전을 느끼실 수도...

P.S3 프레스 블로그에서 주최한 시사회를 통해 본 영화로, 국내에는 3월 19일 개봉합니다.

P.S4 영화의 예고편 등의 부가영상 및 소개는 홈페이지 http://www.gran-torino.co.kr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미셸 공드리

프로덕션 위클리(영화의 제작현황을 알려주는 일종의 유료 리포트)는 자신들의 트위터 채널을 통해서 "이터널 선샤인", "수면의 과학"의 미셸 공드리가 세스 로건이 각본 및 주연을 맡은 영화
"그린 호넷"(The Green Hornet)의 연출을 맡게 되었다고 전했습니다.

"그린 호넷"은 1936년 라디오 드라마로 방영돼 선풍적인 인기를 끈 이후, 코믹스로 출간되었습니다. "그린 호넷"은 신문사와 방송사를 운영하는 재벌 브릿 레이드가 일본계 쿵푸 달인인 가토와 함께 범죄 소탕에 나서는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미국인들에게 너무도 유명한 슈퍼 히어로의 원조격 캐릭터로 1966년 방영된 TV 시리즈에서는 무명이던 이소룡이 가토역으로 출연했습니다. 세스 로건은 이 영화를 위해 크게 감량을 하기도 했습니다.

세스 로건의 "그린 호넷" 프로젝트는 애초에는 주성치가 연출을 맡기로 하였으나, 외부적으로는 창작상의 견해 차이 및 주성치가 자신만의 슈퍼히어로를 제작하길 원해서 스케쥴 문제로 그가 감독직에서 물러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성치는 그린 호넷의 동료인 가토 역을 맡기로도 했었는데, 아직까지는 이 역은 맡을 것으로 보입니다.


영화는 북미기준 2010년 6월 25일 개봉 예정입니다.

미셸 공드리가 만드는 슈퍼히어로 영화라..과연 어떤 식으로 전개될지 흥미진진합니다.

추가. 세스 로건이 MTV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전한 이야기를 통해 이 소식은 공식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엠파이어 매거진 온라인을 통해 "터미네이터: 미래전쟁의 시작"(Terminator Salvation, 이하 터미네이터4)의 새로운 이미지가 공개되었습니다. 엠파이어 매거진은 이 이미지를 커버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터미네이터4

"터미네이터4"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2018년, 스카이넷에 의해 인간이 절멸 위기에 처한 암울한 미래에 존 코너(크리스챤 베일 분)는 그 위기에 맞서 스카이넷에 대항하는 인류의 지도자가 됩니다. 그러던 어느 날, 마커스 라이트(샘 워싱턴 분)라는 정체불명의 사나이가 등장하면서, 존 코너의 운명에는 변화가 일어납니다. 마커스 라이트에게 남아있는 마지막 기억은 그가 사형수였다는 것. 존 코너는 그가 미래에서 보내진 것인지, 과거를 구하기 위한 인물인지, 그의 정체에 대한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그 때, 스카이넷은 인류를 절멸시킬 최후의 맹공을 준비하고, 존 코너와 마커스 라이트는 스카이넷의 심장부에 침투합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인류멸종의 위협에 얽힌 비밀을 발견하게 됩니다.


알려지기로는 이번 "터미네이터4"는 CG로 재현한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등장할 것이라고 합니다.

"미녀삼총사" 시리즈의 맥지가 연출을 맡은 "터미네이터4"는 북미기준 5월 22일 IMAX DMR 2D 및 일반상영으로 개봉합니다.


존 윌리엄스
Upcoming Film Scores가 전한 바에 따르면, "죠스", "슈퍼맨", "인디아나 존스", "스타워즈" 등 유명 영화의 스코어를 담당했던 존 윌리엄스가 스티븐 스필버그의 3D 애니메이션 "땡땡의 모험 : 유니콘의 비밀"(The Adventures of Tintin: Secret of the Unicorn)의 스코어를 맡게 되었다고 합니다.

존 윌리엄스는 지난 "인디아나 존스와 수정 해골의 왕국"까지 24편의 스티븐 스필버그의 작품에서 스코어를 맡았습니다.

"땡땡의 모험"은 3부작으로 기획되었으며 1편은 스티븐 스필버그가, 2편은 피터 잭슨이 연출을 맡기로 결정되었고 3편은 아직 미정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지기는 존 윌리엄스가 스티븐 스필버그가 연출할 1편의 스코어를 맡게 되었다는 것이고, 그가 다른 두 편의 스코어도 맡게 될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땡땡의 모험"은 벨기에 작가 에르주가 지난 1929년 처음 출간된 만화로 어린이 리포터 땡땡과 그의 애견 스노위의 모험을 다루고 있으며, 1편인 "땡땡의 모험 : 유니콘의 비밀"은 2011년 개봉 예정입니다.



핸드폰
가장 쉬우면서도 어려운 일이 무엇일까요? 기본부터 확실히 하자라던가 중간이라도 하자 아닐까요? 참 말은 쉬워보이고, 그래 보이지만 또 막상 해보면 그렇지도 않으니까 말입니다.

한 매니지먼트 대표와 그가 잃어버린 핸드폰을 주운 정체불명의 남자가 옥신각신 하는 이야기를 다룬 영화 "핸드폰"은 휴대폰이라는 너무도 익숙하고 현대인의 생활에서 떨어질 수 없는 문명의 이기를 가지고 현대사회에 만연한 소통의 부재와 사람과 사람사이의 기본적인 배려의 부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휴대폰을 통해 너무도 쉽게, 그리고 즉각, 아무리 멀리 떨어진 다른 누구와도 직접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지만 정작 때로는 가장 소중한, 가까운 사람과의 대화는 하지 못하는게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입니다. 영화는 잃어버린 핸드폰을 두고 벌어지는 사건을 통해 그것을 조명합니다.

소재와 그 주제는 좋습니다. 문제는 영화가 가지고 있는 스릴러란 장르를 통해 저 주제와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모습이 너무도 실망스럽다는 것입니다. 영화는 협박을 당하는 오승민(엄태웅 분)의 예의없고 거친 행동들을 보여준 이후에 그를 협박하던 정이규의 정체를 드러내보입니다. 그리고는 정이규의 배경을 보여줌으로써 주제를 결부시켜나가며 그가 그럴 수 밖에 없었다는 당위성을 부위하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그 당위성을 향한 노력은 정이규라는 존재에 대한 동정으로 변모할 소지가 다분하며 이 둘에 대한 시각차이가 순식간에 변해가는 상황은 관객들에게 두 명의 캐릭터에 대한 정의 자체에 혼란을 느끼게 됩니다. 영화는 전개과정에서 꼭 필요한 각종 사건에게도 너무 부차적인 상황의 설정과 겉도는 이야기가 많아서 전체적으로 산만한 느낌을 주며, 그 필요한 사건에 있어서도 지나치게 작위적인 느낌을 입힘으로 인해 설득력을 잃게 됩니다. 쫓고 쫓기는 느낌이 주는 재미는 흐지부지한 상황에서 끝까지 별 필요없는 부차적인 반전의 시도는 안쓰러워보이기까지 합니다.

이 영화는 상업영화입니다. 그리고 장르영화입니다. 이러한 조건에 따라 갖추어야할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그 장르가 주는 쾌감과 재미를 관객에게 먼저 제공하는 것입니다. 왠지 의미있고, 거창해보이는 주제? 그건 일단 이 기본부터 해결한 후에 해도 늦지 않습니다.

제81회 아카데미 시상식

수상 결과 리스트입니다. 볼드체의 파란글씨로 표시된 영화/배우가 수상작/자 입니다.


작품상 Best motion picture of the year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캐슬린 케네디 Kathleen Kennedy, 프랭크 마샬 Frank Marshall, 션 차핀 Ceán Chaffin
프로스트 vs 닉슨 Frost/Nixon : 브라이언 그레이저 Brian Grazer, 론 하워드 Ron Howard, 에릭 펠너 Eric Fellner
밀크 : Milk : 댄 징크스 Dan Jinks, 브루스 코엔 Bruce Cohen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The Reader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크리스챤 콜슨 Christian Colson

감독상 Best achievement in directing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데이빗 핀처 David Fincher
프로스트 vs 닉슨 Frost/Nixon : 론 하워드 Ron Howard
밀크 Milk : 구스 반 산트 Gus Van Sant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The Reader : 스티븐 달드리 Stephen Daldry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대니 보일 Danny Boyle

남우주연상 Best perfomance by an actor in a leading role

리차드 젠킨스 Richard Jenkins : 비지터 The Visitor
프랭크 란젤라 Frank Langella : 프로스트/닉슨 Frost/Nixon
숀 펜 Sean Penn : 밀크 Milk
브래드 피트 Brad Pitt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미키 루크 Mickey Rourke : 더 레슬러 The Wrestler

여우주연상 Best perfomance by an actress in a leading role

앤 해서웨이 Anne Hathaway : 레이첼 결혼하다 Rachael Getting Married
안젤리나 졸리 Angelina Jolie : 체인질링 Changeling
멜리사 레오 Melissa Leo : 프로즌 리버 Frozen River
메릴 스트립 Meryl Streep : 다우트 Doubt
케이트 윈슬렛 Kate Winslet :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The Reader

남우조연상  Best perfomance by an actor in supporting role

조쉬 브롤린 Josh Brolin : 밀크 Milk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Robert Downey Jr. : 트로픽 썬더 Tropic Thunder
필립 셰이모어 호프먼 Philip Seymour Hoffman : 다우트 Doubt
히스 레저 Heath Ledger :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마이클 섀넌 Michael Shannon : 레볼루셔너리 로드 Revolutionary Road

여우조연상 Performance by an actress in supporting role

에이미 아담스 Amy Adams : 다우트 Doubt
페넬로페 크루즈 Penélope Cruz : 빅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 Vicky Cristina Barcelona
바이올라 데이비스 Viola Davis : 다우트 Doubt
태라지 P. 헨슨 Taraji P. Henson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마리사 토메이 Marisa Tomei : 더 레슬러 The Wrestler


각본상 Original screenplay

프로즌 리버 Frozen River : 커트니 헌트 Courtney Hunt
해피 고 럭키 Happy-Go-Lucky : 마이크 리 Mike Leigh
킬러들의 도시 in Bruges : 마틴 맥도나휴 Martin McDonagh
밀크 Milk : 더스틴 랜스 블랙 Dustin Lance Balck
월-E Wall-E : 각본 - 앤드류 스탠튼 Andrew Stanton / 짐 리어든 Jim Reardon, 스토리 - 앤드류 스탠튼 Andrew Stanton / 피트 닥터 Pete Docter


각색상 Adapted screenplay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각본 - 에릭 로스 Eric Roth, 스토리 - 에릭 로스 Eric Roth / 로빈 스위코드 Robin Swicord
다우트 Doubt : 존 패트릭 쉐인리
프로스트 vs 닉슨 Frost/Nixon : 피터 모건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The Reader : 데이빗 해어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사이몬 뷰포이

촬영상 Best achievement in cinematography

체인질링 Changeling : 톰 스턴 Tom Stern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클로디오 미란다 Claudio Miranda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월리 피스터 Wally Pfister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The Reader : 크리스 멘지스 Chris Menges / 로저 디킨즈 Roger Deakins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앤서니 도드 맨틀 Anthony Dod Mantle

미술상 Best achievement in art direction

체인질링 Changeling : 제임스 J. 무라카미 James J. Murakami / 게리 페티스 Gerry Fettis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도널드 그레이엄 버트 Donald Graham Burt / 빅터 J. Zolfo Victor J. Zolfo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네이선 크롤리 Nathan Crowley / 피터 랜도 Peter Lando
공작 부인 : 세기의 스캔들 The Duchess : 마이클 칼린 Michael Carlin / 레베카 올레웨이 Rebecca Alleway
레볼루셔너리 로드 Revolutionary Road : 크리스티 지 Kristi Zea / 데브라 슈트 Debra Schutt


의상상 Best achievement in costume design

오스트레일리아 Australia : 캐서린 마틴 Catherine Martin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재클린 웨스트 Jacqueline West
공작 부인 : 세기의 스캔들 The Duchess : 마이클 오코너 Michael O'Connor
밀크 Milk : 대니 글릭커 Danny Glicker
레볼루셔너리 로드 Revolutionary Road : 알버트 울스키 Albert Wolsky


장편애니메이션상 Best animate feature film of the year

볼트 Bolt : 크리스 윌리암스 Chris Williams / 바이런 하워드 Byron Howard
쿵푸 팬더 Kung Fu Panda : 존 스티븐슨 John Stevenson / 마크 오스본 Mark Osborne
월-E Wall-E : 앤드류 스탠튼 Andrew Stanton

외국어영화상 Best foreign language film of the year

바더 마인호프 컴플렉스 The Baader Meinhof Complex : 독일
클래스 The Class : 프랑스
굿' 바이 Departures : 일본
보복 Revanche : 오스트리아
바시르와 왈츠를 Waltz with Bashir : 이스라엘

작곡상 Best achievement in music(original score)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알렉상드르 데스플라 Alexandre Desplat
디파이언스 Defiance : 제임스 뉴튼 하워드 James Newton Howard
밀크 Milk : 대니 엘프먼 Danny Elfman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A.R. 라만 A.R. Rahman
월-E Wall-E : 토마스 뉴먼 Thomas Newman

주제가상 Best achievement in music(original song)

월-E Wall-E : "Down to Earth"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Jai Ho"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O Saya"

다큐멘터리상 Best documentary feature

비트레이얼 The Betrayal : 엘렌 쿠라스 Ellen Kuras / 타비숙 파라사바스 Thavisouk Phrasavath
세상 끝과의 조우 Encounters at the End of the World : Werner Herzog 베르너 헤어조크 / 헨리 카이저 Henry Kaizer
가든 The Gardern : 스콧 해밀튼 케네디 Scott Hamilton Kennedy
맨 온 와이어 Man on Wire : 제임스 마쉬 James Marsh / 사이몬 친 Simon Chinn
트러블 더 워터 Trouble the Water : 티아 레신 Tia Lessin / 칼 딜 Carl Deal


편집상 Best achievement in editing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커크 벡스터 Kirk Bexter / 앵거스 월 Angus Wall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리 스미스 Lee Smith
프로스트 vs Nixon Frost/Nixon : 마이크 힐 Mike Hill / 댄 헤인리 Dan Hanley
밀크 Milk : 엘리엇 그레이엄 Ellot Graham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크리스 딕킨 Chris Dicken

음향편집상 Best achievement in sound editing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리차드 킹 Richard King
아이언맨 Iron Man : 프랭크 율너 Frank Eulner, 크리스포퍼 보이즈 Christopher Boyes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톰 세이어즈 Tom Sayers
월-E Wall-E : 벤 버트 Ben Burtt, 매튜 우드 Matthew Wood
원티드 Wanted : 윌리 스테이트먼 Wylie Stateman

음향상 Best achievement in sound mixing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데이빗 파커 David Parker, 마이클 셰머닉 Michael Semanick, 렌 클리스 Ren Klyce, 마크 웨인가튼 Mark Weingarten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로라 히스버그 Lora Hirschberg, 게리 리조 Gary Rizzo, 에드 노빅 Ed Novick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이안 탭 Ian Tapp, 리차드 프릭 Richard Pryke, 레설 푸쿠티 Resul Pookutty
월-E Wall-E : 톰 마이어스 Tom Myers, 마이클 셰머닉 Michael Semanick, 벤 버트 Ben Burtt
원티드 Wanted : 크리스 젠킨스 Chris Jenkins, 프랭크 A. 몬타리오 Frank A. Montaño, 피트 포렛 Petr Forejt

시각효과상 Best achievement in visual effects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에릭 바브라 Eric Barba, 스티브 프릭 Steve Preeg, 버트 달튼 Burt Dalton, 크레이그 배론 Craig Barron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닉 데이비스 Nick Davis, 크리스 코볼드 Chris Corbould, 팀 웨버 Tim Webber, 폴 프랭클린 Paul Franklin
아이언맨 Iron Man : 존 넬슨 John Nelson, 벤 스노우 Ben Snow, 댄 수딕 Dan Sudick, 쉐인 만 Shane Mahan


분장상 Best achievement in makeup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그렉 캐놈 Greg Cannom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존 카글리온 주니어 John Caglione. Jr / 코너 오설리반 Conor O'Sullivan
헬보이2 : 골든 아미 Hellboy II: The Golden Army : 마이크 엘리살데 Mike Elizalde / 톰 플로츠 Thom Floutz


단편다큐멘터리상 Best documentary short subject

The Conscience of Nhem En : 스티븐 오카자키 Steven Okazaki
The Final Inch : 이렌 테일러 브로드스키 Irene Taylor Brodsky / 톰 그랜트 Tom Grant
Smile Pinki : 메건 밀런 Megan Mylan
The Witness - From the Balcony of Room 306 : 아담 페트로프스키 Adam Pertofsky / 마가렌 히드 Margaret Hyd

단편 애니메이션상 Best animated short film

La Maison de Petits Cubes : 쿠니오 카토 Kunio Kato
Lavatory - Lovestory : 콘스탄틴 브론짓 Konstantin Bronzit
Oktapodi : 에무드 목베리 Emud Mokhberi, 티에리 마찬드 Thierry Marchand
Presto : 덕 스윗랜드 Doug Sweetland
This Way Up : 앨런 스미스 Alan Smith, 아담 폴크스 Adam Foulkes


단편 영화상 Best live action short film

Auf der Strecke (On the Line) : 레토 카피 Reto Caffi
Manon on the Asphalt : 엘리자베스 마레 Elizabeth Marre, 올리버 폰트 Olivier Pont
New Boy : 스테프 그린 Steph Green, 타마라 앙히 Tamara Anghie
The Pig : 티비 매그누슨 Tivi Magnusson, 도테 호그 Dorte Høgh
Spielzeugland (Toyland) : 요헨 알렉산더 프레이당크 Jochen Alexander Freydank


기술공로상 Scientific and Technical Award

에드 케트멀 Ed Catmull

평생공로상 Jean Hersholt Humanitarian Award

제리 루이스 Jerry Lweis


총 9개 부문에 10 노미네이션을 기록했던 <슬럼독 밀리어네어>가 작품상, 감독상, 각색상, 편집상 등 노미네이트 되지 않은 연기 부문을 빼고 주요부문에서 수상, 총 8개 부문을 휩쓸었습니다. 그에 반해 13개 부문에 올랐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는 3개 부문 수상에 그쳤습니다.

외국어영화상에서 <바시르와 왈츠를>이 아닌 <굿' 바이>가 수상함으로 인한 약간의 놀라움(이스라엘을 그렇게 다뤘으니 줄리가...)을 제외하고는 그간 많은 이들이 예상한 수상작/자가 그대로 맞아 떨어진 시상식이었습니다.

그만큼 수상자/수상작들이 강했다는 의미있을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좀 지루한 시상식 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배우 부문 수상에서 역대 수상자들이 나오는 모습은 눈길을 끌었지만...)

하늘에 있는 히스 레저, 축하합니다.


제81회 아카데미 시상식

이제 우리시간으로 내일 아침 10시(북미 서부시간으로 22일 오후 5시)면 제81회 아카데미 시상식이 성대한 막을 올리게 됩니다.

(부럽게도) 2008년에도 미국영화계는 여러모로 풍성했기에 과연 그 풍성함 속에서 누가 가장 빛나게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해외 여러 매체들이 이번 아카데미 시상식 결과를 예측했는데요, 그 결과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엠파이어의 경우는 가장 다수의 의견을 선택했습니다.)

작품상 Best motion picture of the year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캐슬린 케네디 Kathleen Kennedy, 프랭크 마샬 Frank Marshall, 션 차핀 Ceán Chaffin
프로스트 vs 닉슨 Frost/Nixon : 브라이언 그레이저 Brian Grazer, 론 하워드 Ron Howard, 에릭 펠너 Eric Fellner
밀크 : Milk : 댄 징크스 Dan Jinks, 브루스 코엔 Bruce Cohen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The Reader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크리스챤 콜슨 Christian Colson

루튼토마토 : <슬럼독 밀리어네어>
커밍순닷넷 : <슬럼독 밀리어네어>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슬럼독 밀리어네어>
무비폰 : <슬럼독 밀리어네어>
엠파이어 : <슬럼독 밀리어네어>
프리미어 : <슬럼독 밀리어네어>
로저 에버트 : <슬럼독 밀리어네어>

감독상 Achievement in directing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데이빗 핀처 David Fincher
프로스트 vs 닉슨 Frost/Nixon : 론 하워드 Ron Howard
밀크 Milk : 구스 반 산트 Gus Van Sant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The Reader : 스티븐 달드리 Stephen Daldry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대니 보일 Danny Boyle

루튼토마토 : 대니 보일, <슬럼독 밀리어네어>
커밍순닷넷 : 대니 보일, <슬럼독 밀리어네어>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대니 보일, <슬럼독 밀리어네어>
무비폰 : 대니 보일, <슬럼독 밀리어네어>
엠파이어 : 대니 보일, <슬럼독 밀리어네어>
프리미어 : 대니 보일, <슬럼독 밀리어네어>
로저 에버트 : 대니 보일, <슬럼독 밀리어네어>

남우주연상 Perfomance by an actor in a leading role

리차드 젠킨스 Richard Jenkins : 비지터 The Visitor
프랭크 란젤라 Frank Langella : 프로스트/닉슨 Frost/Nixon
숀 펜 Sean Penn : 밀크 Milk
브래드 피트 Brad Pitt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미키 루크 Mickey Rourke : 더 레슬러 The Wrestler

루튼토마토 : 숀 펜, <밀크>
커밍순닷넷 : 숀 펜, <밀크>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숀 펜, <밀크>
무비폰 : 대니 보일, 숀 펜, <밀크>
엠파이어 : 미키 루크, <더 레슬러>
프리미어 : 숀 펜, <밀크>
로저 에버트 : 숀 펜, <밀크>

여우주연상 Perfomance by an actress in a leading role

앤 해서웨이 Anne Hathaway : 레이첼 결혼하다 Rachael Getting Married
안젤리나 졸리 Angelina Jolie : 체인질링 Changeling
멜리사 레오 Melissa Leo : 프로즌 리버 Frozen River
메릴 스트립 Meryl Streep : 다우트 Doubt
케이트 윈슬렛 Kate Winslet :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The Reader

루튼토마토 : 케이트 윈슬렛,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커밍순닷넷 :
케이트 윈슬렛,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케이트 윈슬렛,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무비폰 : 케이트 윈슬렛,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엠파이어 : 케이트 윈슬렛,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프리미어 : 케이트 윈슬렛,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로저 에버트 : 케이트 윈슬렛, <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남우조연상 Perfomance by an actor in supporting role

조쉬 브롤린 Josh Brolin : 밀크 Milk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Robert Downey Jr. : 트로픽 썬더 Tropic Thunder
필립 셰이모어 호프먼 Philip Seymour Hoffman : 다우트 Doubt
히스 레저 Heath Ledger :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마이클 섀넌 Michael Shannon : 레볼루셔너리 로드 Revolutionary Road


루튼토마토 : 히스 레저, <다크 나이트>
커밍순닷넷 :
히스 레저, <다크 나이트>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히스 레저, <다크 나이트>
무비폰 : 히스 레저, <다크 나이트>
엠파이어 : 히스 레저, <다크 나이트>
프리미어 : 히스 레저, <다크 나이트>
로저 에버트 : 히스 레저, <다크 나이트>


여우조연상 Performance by an actress in supporting role

에이미 아담스 Amy Adams : 다우트 Doubt
페넬로페 크루즈 Penélope Cruz : 빅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 Vicky Cristina Barcelona
바이올라 데이비스 Viola Davis : 다우트 Doubt
태라지 P. 헨슨 Taraji P. Henson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마리사 토메이 Marisa Tomei : 더 레슬러 The Wrestler


루튼토마토 : 페넬로페 크루즈, <빅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
커밍순닷넷 :
바이올라 데이비스, <다우트>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페넬로페 크루즈, <빅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
무비폰 : 페넬로페 크루즈, <빅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
엠파이어 : 페넬로페 크루즈, <빅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 / 바이올라 데이비스, <다우트>
프리미어 : 에이미 아담스, <다우트>
로저 에버트 : 바이올라 데이비스, <다우트>


각본상 Original screenplay

프로즌 리버 Frozen River : 커트니 헌트 Courtney Hunt
해피 고 럭키 Happy-Go-Lucky : 마이크 리 Mike Leigh
킬러들의 도시 in Bruges : 마틴 맥도나휴 Martin McDonagh
밀크 Milk : 더스틴 랜스 블랙 Dustin Lance Balck
월-E Wall-E : 각본 - 앤드류 스탠튼 Andrew Stanton / 짐 리어든 Jim Reardon, 스토리 - 앤드류 스탠튼 Andrew Stanton / 피트 닥터 Pete Docter


루튼토마토 : <밀크>
커밍순닷넷 :
<밀크>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밀크>
무비폰 : <밀크>
엠파이어 : <밀크>
프리미어 : <밀크>
로저 에버트 : <밀크>

각색상 Adapted screenplay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각본 - 에릭 로스 Eric Roth, 스토리 - 에릭 로스 Eric Roth / 로빈 스위코드 Robin Swicord
다우트 Doubt : 존 패트릭 쉐인리
프로스트 vs 닉슨 Frost/Nixon : 피터 모건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The Reader : 데이빗 해어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사이몬 뷰포이

루튼토마토 : <슬럼독 밀리어네어>
커밍순닷넷 :
<슬럼독 밀리어네어>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슬럼독 밀리어네어>
무비폰 : <슬럼독 밀리어네어>
엠파이어 : <슬럼독 밀리어네어>
프리미어 : <슬럼독 밀리어네어>
로저 에버트 : <슬럼독 밀리어네어>

촬영상 Achievement in cinematography

체인질링 Changeling : 톰 스턴 Tom Stern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클로디오 미란다 Claudio Miranda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월리 피스터 Wally Pfister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The Reader : 크리스 멘지스 Chris Menges / 로저 디킨즈 Roger Deakins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앤서니 도드 맨틀 Anthony Dod Mantle

루튼토마토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커밍순닷넷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무비폰 : <슬럼독 밀리어네어>
프리미어 : <다크 나이트>
로저 에버트 : <다크 나이트>

미술상 Achievement in art direction

체인질링 Changeling : 제임스 J. 무라카미 James J. Murakami / 게리 페티스 Gerry Fettis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도널드 그레이엄 버트 Donald Graham Burt / 빅터 J. Zolfo Victor J. Zolfo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네이선 크롤리 Nathan Crowley / 피터 랜도 Peter Lando
공작 부인 : 세기의 스캔들 The Duchess : 마이클 칼린 Michael Carlin / 레베카 올레웨이 Rebecca Alleway
레볼루셔너리 로드 Revolutionary Road : 크리스티 지 Kristi Zea / 데브라 슈트 Debra Schutt


루튼토마토 : <공작 부인 : 세기의 스캔들>
커밍순닷넷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무비폰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프리미어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의상상 Achievement in costume design

오스트레일리아 Australia : 캐서린 마틴 Catherine Martin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재클린 웨스트 Jacqueline West
공작 부인 : 세기의 스캔들 The Duchess : 마이클 오코너 Michael O'Connor
밀크 Milk : 대니 글릭커 Danny Glicker
레볼루셔너리 로드 Revolutionary Road : 알버트 울스키 Albert Wolsky

루튼토마토 : <공작 부인 : 세기의 스캔들>
커밍순닷넷 :
<공작 부인 : 세기의 스캔들>
프리미어 : <공작 부인 : 세기의 스캔들>
무비폰 : <공작 부인 : 세기의 스캔들>

장편애니메이션상 Best animate feature film of the year

볼트 Bolt : 크리스 윌리암스 Chris Williams / 바이런 하워드 Byron Howard
쿵푸 팬더 Kung Fu Panda : 존 스티븐슨 John Stevenson / 마크 오스본 Mark Osborne
월-E Wall-E : 앤드류 스탠튼 Andrew Stanton


루튼토마토 : <월-E>
커밍순닷넷 :
<월-E>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월-E>
무비폰 :
<월-E>
프리미어 : <월-E>
로저 에버트 : <월-E>

외국어영화상 Best foreign language film of the year

바더 마인호프 컴플렉스 The Baader Meinhof Complex : 독일
클래스 The Class : 프랑스
굿바이 Departures : 일본
보복 Revanche : 오스트리아
바시르와 왈츠를 Waltz with Bashir : 이스라엘

루튼토마토 : <바시르와 왈츠를>
커밍순닷넷 :
<굿' 바이>
무비폰 :
<바시르와 왈츠를>
프리미어 : <바더 마인호프 컴플렉스>
로저 에버트 : <바시르와 왈츠를>

작곡상 Achievement in music(original score)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알렉상드르 데스플라 Alexandre Desplat
디파이언스 Defiance : 제임스 뉴튼 하워드 James Newton Howard
밀크 Milk : 대니 엘프먼 Danny Elfman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A.R. 라만 A.R. Rahman
월-E Wall-E : 토마스 뉴먼 Thomas Newman

루튼토마토 : <밀크>
커밍순닷넷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무비폰 :
<슬럼독 밀리어네어>
프리미어 : <월-E>

주제가상 Achievement in music(original song)

월-E Wall-E : "Down to Earth"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Jai Ho"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O Saya"

루튼토마토 : Jai Ho, <슬럼독 밀리어네어>
커밍순닷넷 :
Jai Ho, <슬럼독 밀리어네어>
무비폰 :
Jai Ho, <슬럼독 밀리어네어>
프리미어 : Down to Earth, <월-E>

다큐멘터리상 Best documentary feature

비트레이얼 The Betrayal : 엘렌 쿠라스 Ellen Kuras / 타비숙 파라사바스 Thavisouk Phrasavath
세상 끝과의 조우 Encounters at the End of the World : Werner Herzog 베르너 헤어조크 / 헨리 카이저 Henry Kaizer
가든 The Gardern : 스콧 해밀튼 케네디 Scott Hamilton Kennedy
맨 온 와이어 Man on Wire : 제임스 마쉬 James Marsh / 사이몬 친 Simon Chinn
트러블 더 워터 Trouble the Water : 티아 레신 Tia Lessin / 칼 딜 Carl Deal


루튼토마토 : <맨 온 와이어>
커밍순닷넷 :
<맨 온 와이어>
무비폰 :
<맨 온 와이어>
프리미어 : <맨 온 와이어>
로저 에버트 : <맨 온 와이어>

편집상 Achievement in editing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커크 벡스터 Kirk Bexter / 앵거스 월 Angus Wall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리 스미스 Lee Smith
프로스트 vs Nixon Frost/Nixon : 마이크 힐 Mike Hill / 댄 헤인리 Dan Hanley
밀크 Milk : 엘리엇 그레이엄 Ellot Graham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크리스 딕킨 Chris Dicken

루튼토마토 : <슬럼독 밀리어네어>
커밍순닷넷 :
<슬럼독 밀리어네어>
프리미어 : <다크 나이트>
무비폰 :
<슬럼독 밀리어네어>

음향편집상 Achievement in sound editing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리차드 킹 Richard King
아이언맨 Iron Man : 프랭크 율너 Frank Eulner, 크리스포퍼 보이즈 Christopher Boyes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톰 세이어즈 Tom Sayers
월-E Wall-E : 벤 버트 Ben Burtt, 매튜 우드 Matthew Wood
원티드 Wanted : 윌리 스테이트먼 Wylie Stateman


루튼토마토 : <월-E>
커밍순닷넷 :
<월-E>
무비폰 :
<다크 나이트>
프리미어 : <다크 나이트>

음향상 Achievement in sound mixing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데이빗 파커 David Parker, 마이클 셰머닉 Michael Semanick, 렌 클리스 Ren Klyce, 마크 웨인가튼 Mark Weingarten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로라 히스버그 Lora Hirschberg, 게리 리조 Gary Rizzo, 에드 노빅 Ed Novick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 이안 탭 Ian Tapp, 리차드 프릭 Richard Pryke, 레설 푸쿠티 Resul Pookutty
월-E Wall-E : 톰 마이어스 Tom Myers, 마이클 셰머닉 Michael Semanick, 벤 버트 Ben Burtt
원티드 Wanted : 크리스 젠킨스 Chris Jenkins, 프랭크 A. 몬타리오 Frank A. Montaño, 피트 포렛 Petr Forejt

루튼토마토 : <월-E>
커밍순닷넷 :
<다크 나이트>
무비폰 :
<다크 나이트>
프리미어 : <월-E>

시각효과상 Achievement in visual effects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에릭 바브라 Eric Barba, 스티브 ㅠ프릭 Steve Preeg, 버트 달튼 Burt Dalton, 크레이그 배론 Craig Barron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닉 데이비스 Nick Davis, 크리스 코볼드 Chris Corbould, 팀 웨버 Tim Webber, 폴 프랭클린 Paul Franklin
아이언맨 Iron Man : 존 넬슨 John Nelson, 벤 스노우 Ben Snow, 댄 수딕 Dan Sudick, 쉐인 만 Shane Mahan

루튼토마토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커밍순닷넷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무비폰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프리미어 : <아이언맨>
로저 에버트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분장상 Achievement in makeup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 그렉 캐놈 Greg Cannom
다크 나이트 The Dark Knight : 존 카글리온 주니어 John Caglione. Jr / 코너 오설리반 Conor O'Sullivan
헬보이2 : 골든 아미 Hellboy II: The Golden Army : 마이크 엘리살데 Mike Elizalde / 톰 플로츠 Thom Floutz


루튼토마토 : <헬보이2 : 골든 아미>
커밍순닷넷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무비폰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프리미어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로저 에버트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단편다큐멘터리상 Best documentary short subject

The Conscience of Nhem En : 스티븐 오카자키 Steven Okazaki
The Final Inch : 이렌 테일러 브로드스키 Irene Taylor Brodsky / 톰 그랜트 Tom Grant
Smile Pinki : 메건 밀런 Megan Mylan
The Witness - From the Balcony of Room 306 : 아담 페트로프스키 Adam Pertofsky / 마가렌 히드 Margaret Hyd

루튼토마토 : <The Conscience of Nhem En>
커밍순닷넷 :
<The Witness>
무비폰 :
<The Witness>

단편 애니메이션상 Best animated short film

La Maison de Petits Cubes : 쿠니오 카토 Kunio Kato
Lavatory - Lovestory : 콘스탄틴 브론짓 Konstantin Bronzit
Oktapodi : 에무드 목베리 Emud Mokhberi, 티에리 마찬드 Thierry Marchand
Presto : 덕 스윗랜드 Doug Sweetland
This Way Up : 앨런 스미스 Alan Smith, 아담 폴크스 Adam Foulkes


루튼토마토 : <Presto>
커밍순닷넷 :
<Presto>
무비폰 :
<Presto>

단편 영화상 Best live action short film

Auf der Strecke (On the Line) : 레토 카피 Reto Caffi
Manon on the Asphalt : 엘리자베스 마레 Elizabeth Marre, 올리버 폰트 Olivier Pont
New Boy : 스테프 그린 Steph Green, 타마라 앙히 Tamara Anghie
The Pig : 티비 매그누슨 Tivi Magnusson, 도테 호그 Dorte Høgh
Spielzeugland (Toyland) : 요헨 알렉산더 프레이당크 Jochen Alexander Freydank


루튼토마토 : <Spielzeugland (Toyland)>
커밍순닷넷 :
<Spielzeugland (Toyland)>
무비폰 :
<Spielzeugland (Toyland)>


마이클 베이

"트랜스포머 : 폴른의 역습"(Transformers: Revenge of the Fallen, 이하 트랜스포머2)의 마이클 베이 감독은 그간 메가트론은 이번 작품에 등장하지 않는다고 밝혀왔습니다. 하지만, 그의 말을 뒤집는 발언이 "트랜스포머2"의 작가인 로베르토 오씨를 통해 나왔습니다.

로베르토 오씨는 "트랜스포머"의 팬포럼인 TFW2005의 게시판을 통해 '메가트론은 돌아온다. 이건 비밀.' 이라고 밝혔습니다.

마이클 베이는 자신의 작품의 개봉 전에 일부러 거짓정보를 흘리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감독인데요, 그간 부인해 온 것은 팬들에게 서프라이즈~! 하려고 했던 걸까요?

누구의 말이 맞는지는 결국 개봉일이 되든지, 아니면 마감독이 '하하, 들켰군.' 해야 밝혀질테지요.

"트랜스포머 2"는 전작에서 도망을 간 스타스크림이 그들의 고향으로 돌아간 후, 지구에 남겨둔 큐브의 조각을 탈취하기 위해 전열을 재정비해 다시 지구를 침공한다는 이야기를 그릴 것이며 그 과정에서 폴른과 디베스테이터 등의 디셉티콘이,오토봇 측에서도 역시 새로운 로봇들이 등장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트랜스포머2"는 전작의 주요 출연진들이 모두 돌아오는 가운데 북미기준 2009년 6월 24일(국내는 6월 25일)  IMAX 및 일반상영으로 개봉합니다.

<이 글의 연관글>
2009/02/17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풀티저예고편 정식 공개!!
2009/02/13 - [Movie/News] - 프로듀서가 밝힌 "트랜스포머2"에 대한 추가 정보들
2009/02/13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풀티저예고편 캠버전 공개
2009/02/13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개봉일 앞 당겨져
2009/02/11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폴른과 디베스테이터 공개?
2009/02/10 - [Movie/News] - 마이클 베이, '"트랜스포머2"는 더 거대하고, 더 어둡다'
2009/02/03 - [Movie/News] - 마이클 베이, '"트랜스포머2"의 첫 영상은 시작에 불과하다'
2009/02/03 - [Movie/News] - "트랜스포머2"의 중요 스포일러 공개?!
2009/02/01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첫 영상 드디어 공개!
2009/01/31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첫 티저는 방송과 거의 같이 온라인에 공개
2009/01/31 - [Movie/News] - 마이클 베이, '트랜스포머들과 터미네이터가 붙는 걸 보고 싶다'
2009/01/13 - [Movie/News] - 맥지, 마이클 베이의 발언에 반박
2009/01/10 - [Movie/News] - 마이클 베이, '"터미네이터4"는 "트랜스포머"를 베꼈다'
2009/01/10 - [Movie/News] - "트랜스포머2"의 첫 티저 예고편, 오는 슈퍼볼 중계 중에 공개!
2009/01/09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첫 티저 포스터 공개
2008/12/30 - [Movie/News] - "트랜스포머2"에 대한 간략 정보들. '메가트론은 등장하지 않아..'
2008/12/30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추가 사진 공개
2008/12/29 - [Movie/News] - 마이클 베이의 "트랜스포머2", 첫 스틸 사진 공개
2008/12/10 - [Movie/News] - "트랜스포머2"의 예고편, 내년 2월 공개 예정
2008/09/30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IMAX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할 것
2008/09/23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메가트론 이미지 첫 공개
2008/08/12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IMAX로 개봉
2008/06/26 - [Movie/News] - "트랜스포머2"의 줄거리와 관련된 소식
2008/06/06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공식 제목 결정되다!
2008/05/31 - [Movie/News] - 재즈, "트랜스포머2"에 복귀한다?!
2008/05/14 - [Movie/News] - "트랜스포머2"는 3D 상영으로 제작된다?!
2008/05/10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캐스팅 관련 소식 - 2
2008/05/07 - [Movie/News] - 조나 힐의 "트랜스포머2" 캐스팅은 없던 일로...
2008/05/02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캐스팅 관련 소식
2008/04/27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항공기의 무덤'에서 촬영 예정?!
2008/02/13 - [Movie/News] - "트랜스포머 2"의 초고 작업 완료!
2007/10/15 - [Movie/News] - 앞으로 두편 이상의 "트랜스포머" 영화가 만들어 질것.
2007/09/23 - [Movie/News] - "트랜스포머2"는 2009년 여름 개봉?!
2007/09/18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제작 연기되다
2007/08/24 - [Movie/News] - "트랜스포머2" , 파업으로 연기될 것!
2007/08/22 - [Movie/News] - 마이클 베이, 다시, "트랜스포머2" 맡겠다!
2007/08/22 - [Movie/News] - 마이클 베이, "트랜스포머2" 를 거절하다!

골든라즈베리 어워즈
지난 1981년 시작된 이래 올해로 29회 째를 맞이하는 골든라즈베리 시상식(Golden Raspberry Awards)의 수상자/작이 전통대로 아카데미 시상식을 하루 앞두고 발표되었습니다.

리스트 중 가장 상단의 파란색 볼드체로 표기된 배우/영화가 수상자/작입니다.

골든 라즈베리 시상식은 존 윌슨이 만든 '골든 라즈베리 재단'에 의해 '영화값 1달러도 아까운 영화'를 뽑자는 취지에서 1981년 제정되었는데, 라즈베리(Raspberry)는 나무딸기라는 뜻과 더불어 경멸, 냉소를 뜻하는 미국 속어로도 쓰입니다.

최악의 작품상 Worst Picture

러브 구루 The Love Guru (Paramount)

* 재난 영화 Disaster Movie (Lionsgate) and Meet the Spartans (20th Century Fox) (jointly)
* 해프닝 The Happening (20th Century Fox)
* 하티 앤 노티 The Hottie and the Nottie (Regent Releasing)
* 왕의 이름으로 In the Name of the King: A Dungeon Siege Tale (Boll KG/Brightlight Pictures)

최악의 남우주연상 Worst Actor

마이크 마이어스 in 러브 구루 Mike Myers in The Love Guru

* 래리 더 케이블 가이 위틀리스 프로텍션 in Larry the Cable Guy in Witless Protection
* 에디 머피 in 데이브 속 데이브 Eddie Murphy in Meet Dave
* 알 파치노 in 88분 Al Pacino in 88 Minutes and Righteous Kill
* 마크 월버그 in 해프닝 Mark Wahlberg in The Happening and Max Payne

최악의 여우주연상 Worst Actress

패리스 힐튼 in 하티 앤 노티 Paris Hilton in The Hottie and the Nottie

* 제시카 알바 in 러브 구루 Jessica Alba in The Eye and The Love Guru
* 카메론 디아즈 in 라스베가스에서만 생길 수 있는 일 Cameron Diaz in What Happens in Vegas
* 케이트 허드슨 in 사랑보다 황금 Kate Hudson in Fool's Gold and My Best Friend's Girl
* "내 친구의 사생활"의 출연진들 (아네트 베닝, 에바 멘데스, 데브라 메싱, 제이다 핀켓 스미스, 멕 라이언) The cast of The Women (Annette Bening, Eva Mendes, Debra Messing, Jada Pinkett Smith, and Meg Ryan)

최악의 남우조연상 Worst Supporting Actor

피어스 브로스넌 in 맘마 미아! Pierce Brosnan in Mamma Mia!

* 벤 킹슬리 in 러브 구루, 왜크니스, 전쟁 주식회사  Ben Kingsley in The Love Guru, The Wackness and War, Inc.
* 우웨 볼 in 포스탈 Uwe Boll (as himself) in Postal
* 버트 레이놀즈 in 딜, 왕의 이름으로 Burt Reynolds in Deal and In the Name of the King: A Dungeon Siege Tale
* 베른 트로이어 in 러브 구루, 포스탈 Verne Troyer in The Love Guru and Postal

최악의 여우조연상 Worst Supporting Actress

패리스 힐튼 in 리포! 더 제네틱 오페라 Paris Hilton in Repo! The Genetic Opera

* 카르멘 일렉트라 in 재난 영화, 미트 더 스파르탄 Carmen Electra in Disaster Movie and Meet the Spartans
* 패리스 힐튼 in 리포! 더 제네틱 오페라 Paris Hilton in Repo! The Genetic Opera
* 제니 맥카시 in 위틀리스 프로텍션 Jenny McCarthy in Witless Protection
* 릴리 소비에스키 in 88분, 왕의 이름으로 Leelee Sobieski in 88 Minutes and In the Name of the King: A Dungeon Siege Tale

최악의 커플상 Worst Screen Couple

패리스 힐튼과 크리스틴 라킨 또는 조엘 데이빗 무어 in 하티 앤 노티 Paris Hilton and either Christine Lakin or Joel David Moore in The Hottie and the Nottie

* 우에 볼과 어느 배우, 촬영, 각본이든 다 Uwe Boll and "any actor, camera, or screenplay"
* 카메론 디아즈와 애쉬튼 커쳐 in 라스베가스에서만 생길 수 있는 일 Cameron Diaz and Ashton Kutcher in What Happens in Vegas
* 래디 더 케이블 가이와 제니 맥카시 in 위틀리스 프로텍션 Larry the Cable Guy and Jenny McCarthy in Witless Protection
* 에디 머피와 에디 머피 in 데이브 속 데이브 "Eddie Murphy in Eddie Murphy" in Meet Dave

최악의 감독상 Worst Director

우웨 볼 for Uwe Boll for 1968 터널 랫츠, 왕의 이름으로, 포스탈 1968 Tunnel Rats, In the Name of the King: A Dungeon Siege Tale, and Postal

* 제이슨 프레드버그 애론 셀처 for 재난 영화, 미트 더 스파르탄 Jason Friedberg and Aaron Seltzer for Disaster Movie and Meet the Spartans
* 마르코 쉬나벨 for 러브 구루 Marco Schnabel for The Love Guru
* 탐 풋남 for 하티 앤 노티 Tom Putnam for The Hottie and the Nottie
* M. 나이트 샤말란 for 해프닝 M. Night Shyamalan for The Happening

최악의 각본상 Worst Screenplay

러브 구루 The Love Guru (written by Mike Myers & Graham Gordy)

* 재난 영화, 미트 더 스파르탄 Disaster Movie and Meet the Spartans (jointly) (written by Jason Friedberg & Aaron Seltzer)
* 해프닝 The Happening (written by M. Night Shyamalan)
* 하티 앤 노티 The Hottie and the Nottie (written by Heidi Ferrer)
* 왕의 이름으로 In the Name of the King: A Dungeon Siege Tale (screenplay by Doug Taylor)

최악의 프리퀄, 시퀄, 리메이크, 패러디상 Worst Prequel, Remake, Rip-off or Sequel

인디아나 존스와 수정해골의 왕국 Indiana Jones and the Kingdom of the Crystal Skull (sequel to Raiders of the Lost Ark, Indiana Jones and the Temple of Doom, and Indiana Jones and the Last Crusade)

* 지구가 멈추는 날 The Day the Earth Stood Still (remake of the 1951 film)
* 스피드 레이서 Speed Racer (remake/rip-off of the TV series Speed Racer)
* 재난 영화, 미트 더 스파르탄 Disaster Movie and Meet the Spartans (jointly) (rip-off of many films)
* 스타워즈: 클론 전쟁Star Wars: The Clone Wars (sequel to Star Wars Episode II: Attack of the Clones, prequel to Star Wars Episode III: Revenge of the Sith)

최악의 공로상 Worst Career Achievement

우웨 볼

* 제이슨 프레드버그 & 아론 셀처
* 마돈나
* 키아누 리브스
* 실베스터 스텔론

추가. 수상작/자 리스트에 오류가 있어 수정했습니다.


더 레슬러

미키 루크 부활의 현장을 목도할수 있는 영화, "더 레슬러"(The Wrestler)의 트리비아입니다. 이하 경어가 생략됨을 양해부탁드립니다. ("더 레슬러"는 국내에 오는 3월 5일 개봉합니다.)

- 한때는 니콜라스 케이지가 이 영화에 출연하기로 한 적도 있었다. 그는 뉴욕에서 열린 레슬링 이벤트인 'Ring of Honor'에 역할 준비를 위해 참석하기도 했다.

- 촬영기간을 35일로 계획했다.

- 폭스 서치라이트는 이 영화의 북미 배급권을 2008 토론토 영화제에서 샀는데, 금액은 400만불이었다고 알려졌다.

- 2008년 2월 9일,
CZW(미국의 인디 레슬링 단체)의 2월 정기 이벤트가 열린 뉴 앨함브라 아레나에서 촬영을 진행했는데, CZW 소속 레슬러 Necro Butcher가 참여했으며 그는 영화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스테판 주 : 미키 루크가 맡은 랜디 '램' 로빈슨의 하드코어 매치 상대)

- 닉(웨스 스티븐스 분) 역으로 아티 레인지, 존 벤티밀리아, 데이빗 애텔이 스크린 테스트를 받았다.

- 극의 클라이막스 장면인 랜디 '램' 로빈슨(미키 루크 분)과 아야톨라와의 리매치는 2008년 3월 14과 15일 열린 'Ring of Honor' 이벤트 때 촬영되었다. 여러 'Ring of Honor'에 등장한 레슬러들이 영화에 카메오 출연했다.

- 마크 마르골리스는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영화 네 편에 모두 출연했다.

-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인 아파 아노아이('와일드 사모안)이 미키 루크의 훈련을 담당했으며, 영화 속 시합을 구성했다. 아노아이의 딸인 베일 아노아이는 영화에서 약사로 잠깐 등장했다.

- 대런 아로노프스키는 미키 루크를 1순위로 염두에 두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스튜디오는 니콜라스 케이지를 원했고, 아로노프스키는 끝까지 싸워 미키 루스크를 랜디 '램' 로빈슨 역에 캐스팅했다.

- "더 레슬러"는 베니스 영화제에서 작품상에 해당하는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하나의 영화 하나의 상만을 수여한다는 영화제의 룰로 인해 미키 루크는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지 못했다. 미키 루크는 작품상을 받은 영화에 출연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해했다.

- 영화의 적은 제작비 때문에, 액슬 로즈는 건즈 앤 로지스의 "Sweet Child O'Mine"을 영화의 마지막 시합에서 무료로 쓸 수 있도록 했다.

- 랜디 '램' 로빈슨의 밴의 차종은 닷지 램(Dodge Ram) 이다.

- 콰이엇 라이엇의 "Bang Your Haed"가 랜디 '램 로빈슨'의 시합 중 인트로 테마로 쓰였다.

- 시합 중 팬이 랜디에게 자신의 의족을 주며 그것을 사용해 공격하라고 하는 장면은 실제 ECW에서 있었던 일이다. 당시 시합을 했던 프로레슬러는 타미 드리머였다.

- 미키 루크는 이 영화를 통해서 처음으로 아카데미 시상식과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후보로 오르는 영광을 안았다. 그리고 골든 글로브에서는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프로레슬러 로디 파이퍼는 이 영화의 상영이 끝난 후, 감정이 격해져 눈물을 흘렸다.

- 랜디(미키 루크 분)는 그의 딸 스테파니(에반 레이첼 우드 분)와의 관계가 좋지 않은데, 이는 1999년 작 다큐멘터리 "비욘드 더 맷"(Beyond the Mat)에 나오는 프로레슬러 제이크 '스네이트' 로버츠와 그의 딸의 관계와 비슷하다.

- 랜디가 이웃의 꼬마와 자신의 트레일러에서 하는 게임은 NES(Nintendo Entertainment System)의 WWF 레슬매니아에 수정을 가한 것이다.

- 마리사 토메이(캐시디 역)의 첫 촬영분량은 미키 루크 앞에서 랩 댄스를 추는 것이었다.

- 미키 루크는 영화의 리얼함을 위해서 실제로 그의 이마에 면도칼로 상처를 냈다. (실제로 많은 프로레슬러들이 그렇게 하듯이.) 프로레슬링 중의 이러한 방법을 'gigging'이라고 하는데, 감독 대런 아로노프스키가 원했다고 한다.

- 미키 루크는 캐스팅 1순위 였으나, 그로 인해 제작비 지원받는 것이 수월하지 않았다.

출처 : IMDB


더 레슬러
미키 루크의 잊혀진 재능, 그것이 내가 이 영화를 만들게 된 가장 큰 이유이다.


감독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말입니다. 아로노프스키는 많은 주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꿋꿋이 밀어붙여 미키 루크에게 랜디 '램' 로빈슨 역을 맡깁니다. 80년대 절정의 인기를 얻었던 미남 스타에서 방탕한 생활과 성형수술 실패로 퇴물 배우로 전락해버린 미키 루크는 그렇게 그의 인생과도 닮은 한 프로 레슬러를 연기하게 됩니다.

영화는 오프닝에서 80년대 너무도 큰 인기를 얻었던 랜디 '램 로빈슨의 모습을 요약해보여줍니다. 아나운서의 찬사, 다시는 볼 수 없을 것 같은 대기록들. 하지만 그로부터 20년 후, 허름한 대기실을 나와 자신의 트레일러 하우스를 향하는 랜디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세월은 그에게서 부와 인기, 그리고 신체적 젊음을 앗아갔습니다. 랜디는 과거의 150만명이 넘게 지켜봤던 TV 중계 속의 절정의 스타 레슬러가 아니라 하우스쇼를 통해, 그리고 체육관 한 쪽에 테이블을 차려놓고 과거의 영광을 팔아 삶을 이어나가는 한물간 레슬러일 뿐입니다. 세월이 그에게 빼앗아간 것은 인기와 젊음만이 아닙니다. 가족 역시 그러합니다. 그는 외롭습니다. 허름한 집과 스트립클럽에서의 짧은 유흥만이 그에게 남아있습니다.

영화는 필름의 거친 입자로 랜디의 현재의 모습을 담습니다. 그 거친 느낌은 마치 랜디가 겪었던 세월이 남긴 흔적 같습니다. 영화는 많은 부분을 그의 뒷모습을 좇습니다. 그가 바라본, 그가 마주한 현실을 관객 역시 그의 어깨 너머로 같이 볼 수 있습니다. 영화가 그리는 랜디의 삶은 프로레슬링의 세계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합니다. '짜고 치는 고스톱'. 혹자들은 프로레슬링을 그렇게 말합니다. 영화에서도 그들이 경기 전 합을 맞추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핵심은 그것이 아닙니다. 이어서 보이는 것은 피로 얼록진 랜디의 모습입니다. 격렬한 하드코어 경기로 배에는 상처가 벌어져있으며, 그의 등에는 철심이 박혀있습니다. 링 위는 철저한 현실입니다. 그 위에는 각본으로 구성된 한낱 쇼가 아닌 열정과 그리고 그에 따르는 고통이 있습니다. 대런 아로노프스키는 90년대 초 영화학교를 다니며 이 영화를 구상했다고 합니다. 많은 복싱 영화들이 만들어졌고 하나의 장르처럼 여겨졌을 때, 프로레슬링을 다룬 영화는 소수였고 아로노프스키는 프로레슬링 역시 진짜 스포츠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그는 프로레슬링이 주는 실제와 속임수 사이의 매력에 이끌렸다 말합니다. 프로레슬링과 영화로 대변될 수 있는 쇼비즈니스계는 서로 닮아 있습니다. 스크린과 무대에서 보이는 허구의 모습과 그 이면에 있는 또다른 현실이 말입니다.

더 레슬러

그렇기에 "더 레슬러"의 미키 루크는 단순히 삶의 유사성이 아니라, 그가 걸었던 영화계에서의 길을 이 영화에서 보여줍니다. 영화에서 랜디의 몸에 난 상처에 같이 아파하고, 진짜 세계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신의 이름을 연호하는 팬들이 있는 그 링 위로 돌아가며, '이 곳이 바로 내 세상이다.'라고 하는 랜디의 말에 눈시울이 붉어지는 것은 미키 루크를 우리가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뛰어넘어 미키 루크가 연기하는 랜디의 얼굴 표정과 주름, 그의 눈빛과 눈에서 흘러내리는 눈물은 랜디가 가진, 영화가 가진 진정성을 더욱더 극대화시킵니다. 그가 사랑하는 일에 대한 그 열정을, 링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는 한 레슬러를 말입니다. 영화에는 미키 루크와 짝을 이루는 캐릭터로 스트리퍼 캐시디(마리사 토메이 분)가 등장합니다. 그녀 역시 랜디와 마찬가지입니다. 밤에는 그녀의 몸을 드러내며 돈을 벌지만, 낮에는 혼자 아들을 키우는 엄마일 뿐입니다. 캐시디는 랜디를 붙잡고 진짜 세계에 있으라고 하지만 랜디가, 미키 루크가 바라보는 곳은 저 세상이 아닌 바로 이 곳입니다.

미키 루크는 너무도 큰 묵직함으로 완벽하게 돌아왔습니다. 이 영화는 분명 가상의 이야기(fiction)입니다. 하지만 미키 루크로 인해 이 영화는 실화(true story)가 되었습니다.
미키 루크가 없었다면, 이 영화 역시 없습니다.

P.S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주최한 '아카데미의 보석들' 프로그램을 통해 본 영화로, 국내에는 3월 5일 개봉합니다.

P.S2 씨네21에서 미키 루크가 "씬 시티"에 출연했을 때 올린 기사가 있어 링크해 둡니다.

P.S3 영화의 결말에 대한 스포일러입니다. 접어두겠습니다.


더 리더 : 책 읽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이하 더 리더)는 시대의 흐름 앞에서 고민하는 인간과 용서, 사랑에 관한 영화입니다.

1995년 독일 베를린에 거주하는 마이클은 아침 창가에서 서서 그의 과거를 봅니다. 1958년, 15세이던 마이클은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가던 중, 구토를 하게 되고 그것을 본 한 여성의 도움을 받습니다. 마이클은 감사의 뜻을 전하러 다시 그녀를 방문해 그녀와 첫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이후 한나라고 자신을 밝힌 여성과 지속적인 관계를 가지며 연인과도 같은 관계를 유지합니다. 관계를 가지면서 그들 사이에는 일종의 규약이 생기게 되는데, 마이클이 한나에게 책을 읽어주고 그 이후에 섹스를 하는 것입니다. 무슨 이유인지는 모르지만 마이클은 그저 한나가 시키는대로 합니다. 그러던 중 한나는 사무직으로의 승진을 제안받고 그녀는 돌연 떠나고, 마이클은 상처를 받습니다.

마이클이 한나를 다시 만난 것은 1966년 한 법정에서 입니다. 한나는 과거 나치 수용소의 감시원이었다는 이유와 그 때의 행적들로 인해 법의 심판대에 오르게 된 것입니다. 단순히 성에 민감한 시기의 한 소년의 경험담처럼 느껴졌던 이야기는 이 시점부터 또다른 차원으로 나아갑니다. 한나가 감추하고 하고 싶은 비밀을 알아챈 마이클이 갈등이 시작된 것입니다. 한나의 비밀을 알게 된 마이클은 고민합니다. 자신이 그 비밀을 밝혀야 할까? 그렇게 한다면 한나는 정상참작을 받겠지만, 그것을 통해 그녀와 자신의 관계가 주변에 드러날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인 수치를 감내하기 위해 더 큰 죄를 택하는 한나와 그녀를 구해낼 방도를 알고 있음에도 고민하는 마이클. 이 둘의 관계는 독일의 현대사를 투영합니다. 나찌 독일을 경험했던 세대와 그것을 경험하지 못했던 전후 세대. 나찌는 결코 독일인들이 드러내고 싶지 않은 부끄러움입니다. 전후세대는 바로 그 부끄러움을 비난합니다. 그 부끄러운 일이 자행되도록 방관한 것과 나찌의 협력자들을 모른척하며 함께 지낸 그 사실을 비난합니다. 하지만 마이클은 그럴 수 없습니다. 그는 한나와 사랑을 했습니다. 그렇기에 그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갈등합니다. 그 때 그가 택한 길은 한나에 대한 사랑에 더해 죄책감을 안깁니다.

후에 마이클이 한나에게 보내는 테이프들에는 그가 잊지 못하는, 한나에 대한 마음과 더불어 그녀에게서 돌아서야했던 자신의 행동에 대한 죄책감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 이르러서는 한나에 대한 마이클의 마음은 죄책감에 가까워 보입니다. 한나는 그것을 느낀듯 새로운 삶을 거부합니다. 한나가 마이클에게 남긴 부탁은 그녀 자신의 일말의 죄책감에서 해방되고자 하는 바람과 더불어 마이클이 한나에게 느끼는 죄책감에서의 해방을 돕습니다. 한나 본인은 죄책감에서 벗어날런지 모르겠지만, 희생자의 상처는 그것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 상처는 한나가 양동이로 물을 끼얹어 마이클의 구토 자국을 지우듯이, 혹은 검댕을 뒤집어쓴 마이클을 한나가 씻겨주듯이 간단히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서로 다른 두 세대의 독일인 사이의 문제는 몰라도 홀로코스트의 희생자의 문제는 아닙니다.

영화는 소설의 주제를 옮겨내기 위해 최선의 각색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디 아워스"에서 함께 했던 스티븐 달드리와 데이빗 헤어의 조합은 괜찮아 보입니다. 하지만 때로는 영상화를 위한 함축성이 생략으로 느껴질 정도로 표면적 이야기와 내면적 이야기를 연결하는 것이 버거워 보일 때도 있습니다. 미묘한 어긋남은 지속적이며 이면에 있는 주제보다는 그저 사랑 이야기로 비춰질 가능성이 농후하고 그 이격은 캐릭터의 감정을 이해하는데도 썩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며 아쉬움을 자아냅니다. 영화는 그 간격을 한나 역의 케이트 윈슬렛의 호연으로 채우려하는 듯합니다. 윈슬렛의 연기가 훌륭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나, 영화가 보여주는 일말의 아쉬움은 그럼에도 길게 남습니다.

"더 리더"는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후보에 올랐습니다. 수용소 시설을 둘러보는 마이클의 모습이 길게 연결되는 장면에서 보이는 그런 느낌이 후보에 오르는데 일조하지 않았나 생각해 보게 됩니다. 그러한 연유로 에드워드 즈윅의 "디파이언스"가 혹 지금의 결과물처럼 실망스럽게 나오지 않았다면, "더 리더"의 자리에 들어갈 수도 있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더불어 말입니다.

"월-E", "다크 나이트", "다우트". 이 중 어떤 영화가 "더 리더"의 자리에 들어가도 이상할 바가 없지만, 아카데미니까 말입니다.

P.S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진행되는 '아카데미의 보석들' 프로그램을 통해 본 영화로 국내에는 3월 26일 개봉합니다.


"비지터"는 한 노인의 뒷모습을 비추며 시작합니다. 영화의 주인공인 월터 베일(리차드 젠킨스 분)입니다. 그는 오늘 처음으로 피아노 교습을 온 사람에게 오늘로 레슨은 그만하자고 말합니다. 그러자 그녀가 월터에게 묻습니다. 자기 전에 몇명이 거쳐갔냐고. 네 명 째라고 답하는 그에게 돌아오는 답은 당신의 나이에 악기를 배우는 것은 무리라는 말입니다. 노년의 베일은 삶은 무기력합니다. 대학에서 20년째 같은 과목을 가르치고 있고, 그나마 이번 학기에는 강의가 하나 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책을 써야 한다는 핑계, 또 이러저런 핑계로 계속 그런 삶을 살아가려 합니다.

그러던 중, 공동저자로 이름만 올렸던 논문 때문에 그는 코네티컷을 떠나 뉴욕에 가게 됩니다. 뉴욕에 있는 또다른 그의 집에 도착했을 때, 그 곳에는 다른 누군가가 있었습니다. 시리아 출신의 타렉(하즈 슬레이만 분)과 세네갈 출신의 자이납(다네이 제케세이 거리라 분) 커플입니다. 그들은 중간의 착오로 인해 허락도 받지 않고 월터의 집에 살고 있었던 것 입니다. 월터는 그들을 그냥 내보내기에는 뭐해 집에서 머무는 것을 허락해 줍니다. 그로 인해 월터에게는 작은 변화가 생깁니다. 타렉이 연주하는 아프리칸 드럼을 보고 흥미를 느낀 그는 타렉에게 아프리칸 드럼을 배웁니다. 그러던 중 타렉은 지하철 역에서 불신검문을 당한 후 체포되어 이민국의 수용소에 갖히게 됩니다. 불법체류자라는 이유로 추방당하게 생긴 타렉을 위해 월터는 변호사를 찾는 등 노력을 하게 되고, 그러던 중 타렉의 어머니 모나(히암 압바스 분)가 그의 집을 방문하게 되면서 그는 그녀에게 호감을 갖게 됩니다.

영화는 한 노교수의 일상의 무기력한 삶의 변화를 그려나가다 타렉이 체포된 후 부터는 미국 사회에 대한 이야기로 그 시선을 옮겨갑니다. 타렉은 지하철에서 아주 사소한 오해로 - 그 오해에는 그의 인종 문제도 결부된 - 인해 체포되고 불법체류자인 그의 신분이 드러나 수용소에까지 가게 됩니다. 그가 잘못한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타렉과 자이납은 월터의 입장에서는 말그대로 느닷없는 방문객이었지만 월터는 그들을 받아들였고 그에게 마음을 열어 친구가 된 후에는 그들로 인해 삶의 새로운 경험과 활력을 얻게 됩니다. 수동적이고 지루하기만 그의 삶은 그렇게 변화의 기회를 얻은 것입니다. 하지만 그들 앞에 들이닥친 또 다른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수용소 대기실의 벽에는 '미국의 힘은 이민자입니다'라는 포스터가, 면회실의 한쪽 벽에는 성조기와 자유의 여신상이 그려져 있습니다. 그러 모습과는 달리 아이러니 하게도 수용소는 타렉과 같은 이들을 미국인으로 받아들이는 곳이 아니라, 그들을 미국의 경계 너머로 쫓아낼 준비를 하는 곳입니다. 타렉은 배를 타서 자유의 여신상을 볼때면 처음 보는 것 처럼 좋아했다 자이납이 말합니다. ("대부2"에서도 꼴레오네가 미국에 도착했을 때 자유의 여신상이 보이는 것처럼) 자유의 여신상은 미국이란 나라를 상징합니다. 자유와 기회와 희망이 있는 땅. 그렇기에 타렉은 그 땅의 은혜가 자기에게도 적용될 것이라 생각하고 그토록 좋아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은 그에게 불법체류자란 신분으로 그를 가둡니다. 미국에게 그들은 월터에게처럼 변화를 이끌어줄 방문객이 아니라 테러인자를 지닌 의심스러운 불청객일 뿐인 것입니다.

비지터 비지터
같이 연주하며 기쁨을 나누던 이 둘 사이에 벽을 세운 것은...


리차드 젠킨스는 변화를 겪는 월터의 모습을 인상적으로 연기합니다. 무뚝뚝한, 그리고 무기력한 60대 노인의 표정에서는 리듬감을 타며 흥미로움이 떠오르며, 어느새 부드러운 인상이 얼굴에 자리합니다. 리차드 젠킨스의 연기는 단순히 이야기에 따라 흘러가는 한 사람의 변화가 아니라 눈으로, 그리고 감정으로 변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인식하게 합니다. 그는 영화에서 그 자연스러움으로 보는 이를 끌어당깁니다. 영화의 후반부에서 타렉의 소식을 듣고 분노하는 모습에서 같은 감정을 공유하는 것은 그의 연기에서 비롯합니다. 이런 젠킨스 와 함께 생동감 넘치는 타렉을 연기한 하즈 슬레이만 등 다른 연기자들과의  앙상블 역시 영화를 풍성하게 하는 요인입니다.

"비지터"는 인종을 초월한 우정과 사랑의 감정, 그를 통한 변화를 잔잔히 그려내면서 그들의 관계에 닥치는 현실을 통해 미국 사회의 실제 이면을 들여다봅니다. 월터가 겪은 변화가 크게 다가올수록, 비정한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 역시 크게 다가옵니다. 하지만 그와 함께 느껴지는 변화가 주는 희망의 기운 역시 무시할 수 없습니다. 영화의 이러한 측면들을 흐트러지 않게 조율하면서 잔잔함 속에서 웃음을 터뜨리는 위트와 그러면서도 적절한 무게감을 잃지 않게 극을 유지하는 배우 출신 감독 톰 맥카시의 연출력도 눈에 들어옵니다.

P.S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주최한 '아카데미의 보석들' 프로그램을 통해 본 영화로, 국내개봉일은 미정입니다.

"40살까지 못해본 남자", "사고친 후에"의 감독, "슈퍼 배드", "포겟팅 사라 마샬", "파인애플 익스프레스", "고스트 버스터즈 3" 등의 프로듀서, 미국 코메디 영화계의 큰손인 주드 아패토우가 연출을 맡은 "퍼니 피플"(Funny People)의 예고편이 공개되었습니다.

영화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그리고 있습니다.

올해 42세인 조지 시몬스(아담 샌들러 분)는 인기 코메디언으로, 그간 훌륭히 일을 해왔으며, 쌓아온 영화 경력도 탄탄합니다. 그는 비싼 자동차도 가지고 있고, 차도 가지고 있으며, 뛰어난 유머감각도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여자가 그를 원하고 모든 남자는 그와 친구가 되고 싶어합니다. 그의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정작 가까운 친구는 없습니다. 그래서 그는 비참하며, 자기중심적인 사람이 됩니다. 그러던 어느날 그는 자신이 불치의 혈액질환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에게 남은 시간은 단 6개월 뿐.

25세인 아이라(세스 로건 분)는 가게 점원이지만, 한편으로는 스탠드업 코메디언을 꿈꾸는 청년입니다. 그래서 그는 LA의 작은 스탠드업 코메디 클럽에서 무료로 무대에 서고 있습니다. 그의 유머는 훌륭한 편이지만, 아직 무대 위에서의 캐릭터를 구축하지 못했고 친구들도 그의 무대를 찾지 않습니다.

어느날 밤, 조지와 아이라는 같은 클럽에서 무대에 오르게 됩니다. 조지는 아이라의 무대를 보고는 그에게 무언가 특별함이 있다는 것을 알아채게되고, 아이라를 작가 겸 자신의 조수로 고용합니다. 조지는 아이라의 일종의 멘토로서 그에게 기회를 제공합니다. 둘은 서로에 대해 알아가게되고 친구가 됩니다.


예고편에 대한 별점평가를 해보세요~

아담 샌들러, 세스 로건 외에 에릭 바나, 조나 힐, 제이슨 슈왈츠만, 레슬리 만 등이 출연한 "퍼니 피플"은 북미기준 7월 31일 개봉합니다.


영화정보 블로그 /Film은 구독자가 보내온 한장의 이미지를 공개했습니다. 레전더리 픽쳐스(Legendary Pictures)의 공식 홈페이지 중 비밀번호로 보호되고 있는 페이지라고 합니다.


좌측 상단에 "SUPERMAN UNLEASHED"라는 제목이 뚜렷이 보입니다.

아래는 짤막한 소개글이 있습니다. '기존 시리즈의 액션성을 끌어올리는 "슈퍼맨 리턴즈"의 후속작은 판을 키우고 어떤 슈퍼히어로 영화도 도달하지 못한 액션의 극치를 관객들에게 선사할 것입니다.'

/Film은 자신들의 소스를 통해서 위의 제목은 기획단계 중에 붙인 작업명으로 워너는 작품에 대해 여러 작가들의 의견을 받아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른 한편에서는 이 페이지는 이전 "슈퍼맨 리턴즈"가 나왔을 당시 업데이트 되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그래서 워너의 리붓 결정 후에는 폐기된 프로젝트가 아닌가 하는 추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과연 "슈퍼맨" 시리즈의 후속작은 어떻게 되가는 걸까요.


"다크 나이트"의 히스 레저가 촬영을 진행 중 세상을 떠나고, 이후 그의 역을 조니 뎁, 주드 로, 콜린 파렐이 맡게 된 테리 길리엄 연출의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The Imaginarium of Doctor Parnassus)과 관련된 이미지가 공개되었습니다. 이 이미지를 통해 한 배역을 연기하는 네 명의 배우들의 모습 일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영화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유랑극단의 단장으로 악마와의 내기로 영원한 삶을 살게 된 파느나서스 박사는 한참의 시간이 지난 후 진정 사랑하는 여자를 만나게 되고, 다시 한번 악마와 계약을 맺습니다. 그의 영생을 젊음으로 돌려달라는 것입니다. 조건은 그와 그녀의 사이에서 태어난 첫 아이의 16세 되는 생일날 그 아이를 악마 미스터 닉에게 바치겠다는 것. 파르나서스의 딸 발렌타인은 어느새 자라 16세 생일을 맞이하게 되고, 악마 미스터 닉은 맺은 계약 대로 그녀의 딸을 납치하게 됩니다. 파르나서스는 자신을 도와 딸을 구하는 사람에게 딸과 결혼시켜주겠다고 하고, 그때 등장한 청년 토니와 함께 신비스러운 모험을 떠나게 됩니다.

영화에서 히스 레저, 조니 뎁, 주드 로, 콜린 파렐이 연기하는 배역은 토니입니다.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은 현재까지는 국내에서 6월 4일 개봉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킬 빌"의 쿠엔틴 타란티노가 연출을 맡은 2차세계대전 배경 영화 "인글로리어스 배스터드"(Inglourious Basterds)의 새로운 포스터 세 장이 엠파이어 온라인을 통해 공개되었습니다.

012

브래드 피트, 사무엘 L. 잭슨, 마이크 마이어스, 다이앤 크루거 등의 출연진을 자랑하는 영화는 독일군이 점령한 프랑스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소산나 드레퓌스(멜라니 로랑 분)라는 소녀는 그녀의 가족이 나찌 대령 한스 란다(크리스토퍼 왈츠 분)에 의해 처형당하는 것을 목격하게 됩니다. 소산나는 간신히 탈출하여 파리로 도망을 가게 되고 그곳에서 그녀는 극장의 영사기사라는 새로운 신분으로 위장합니다. 유럽의 다른 곳에서는 미국의 알도 라이네 중위(브래드 피트 분)가 유대인 병사들로 구성된, 나찌에 대한 복수를 위한 특공대를 조직합니다. 그들의 특공대에 독일 '제3제국'의 지도자를 처치하기 위해 독일 여배우와 비밀 요원 브리짓 폰 하머스마크(다이앤 크루거 분)가 들어오게 됩니다. 운명은 이들을 소산나가 그녀 자신이 품은 원한에 대한 복수를 실행할 준비를 하고 있던 극장에서 만나게 합니다.

"인글로리어스 배스터드"는 오늘 5월 칸 영화제에서 공개될 예정이며, 북미기준 8월 21일 개봉합니다.


어제 AICN이 자신의 소식통이 준 정보를 통해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실베스터 스텔론의 신작 "익스펜더블"(The Expendables)에 주지사인 본인 역으로 카메오 출연할 것이라 전한 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

하지만,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헐리우드 내 소스에 의하면 그 소식은 거짓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AICN,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어느 쪽의 소식이 맞을지는 계속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익스펜더블"은 용병부대가 남미의 독재자를 쓰러뜨리기 위한 미션을 수행하는 이야기를 그리는 실베스터 스텔론의 각본/연출작으로 실베스터 스텔론 외에도 미키 루크, 이연걸, 제이슨 스타뎀, 랜디 커투어, 에릭 로버츠, 포레스트 휘테커 등이 출연합니다.


+ Recent posts